•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낵컬처(snackculture)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 양식,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A New Narrative Style in the Snackculture Era, a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Narrative in Webdram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02
30P 미리보기
스낵컬처(snackculture)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 양식,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60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강건해

    초록

    본 연구는 웹플랫폼에 게시될 목적으로 제작된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를 파악하여 드라마의 양식적 특징을 탐구하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웹플랫폼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짧은 길이의 드라마를 ‘웹플랫폼 드라마’로 명명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처럼 ‘웹플랫폼 드라마’로 범주의 제한을 둔 것은 이들 드라마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웹드라마’와 구분되는 이야기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웹드라마가’ 기존의 드라마 형식을 고수한 채 ‘웹’을 드라마 재생의 도구로서 활용하는 것과 달리 ‘웹플랫폼 드라마’는 스낵컬처의 서사 콘텐츠로서 ‘웹’의 환경에 적합한 형식으로 구조화되고 있다. 웹플랫폼 드라마는 ‘에피소드(episode)’라 불리는 10분 내외의 분절된 드라마가 10여 편가량 묶여 완결되는 외형적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에피소드들은 개별적으로 소비되는 까닭에 독자적 이야기 구조를 지니면서도 완결된 드라마의 세계로 수렴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서사의 입구와 출구는 개방되어 있고, 몰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플롯은 간결해진다. 이러한 형식은 웹플랫폼 드라마가 구동되는 매체의 환경과 가상과 현실이 병존하는 상황에 익숙한 수용층의 특성에 부합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이야기가 전통적 서사전개 양식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사건들은 인과적 결속에 구속되지 않는 탈위계적 전개를 보이며, ‘우연’을 적극적인 서사 추동의 기법으로 활용한다. 또한 증폭된 갈등의 해결을 통해 ‘무엇’에 도달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지 않으며, 당면한 순간을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과정’에 충실한 전개를 보인다. 결국 드라마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갈등은 무화되고, 결말은 관객이 기대하는 희극적 마무리에 이르는 양상을 보인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이러한 구조는 필연적 인과관계를 서사의 기본으로 삼아 온 대중적 이야기 양식과는 구분되는 서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 to explore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drama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web dramas intended to be posted on Web platforms.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se dramas as ‘web platform dramas’. The reason why the category of "web platform dramas" has been differentiated is that this type of drama shows a distinct narrative structure from general web dramas, which use the web as a tool for playback, while keeping up with the existing drama format.
    The biggest structural feature of web platform drama is that the story is not limited to traditional narrative development forms. Events in web platform dramas show deviant development that is not constrained by causal bonds, and use "coincidence" as a technique for the active narrative drive. They also show no willingness to reach the resolution of the amplified conflict but develop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moment at hand. Accordingly, the dramatic conflict revealed in development process is mutilated, and the dramatic conflict is likely to lead to the comic ending expected by the audience.
    This structure of web platform drama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popular narrative style, which has inevitably made causality the basis of the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