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새로운 과거: 쿠르트 레빈의 'action-research'를 중심으로 (A New Past of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ction-research' of Kurt Lewi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0.09
46P 미리보기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새로운 과거: 쿠르트 레빈의 'action-research'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 / 23권 / 3호 / 1 ~ 46페이지
    · 저자명 : 서근원

    초록

    이 연구는 흔히 실행연구로 번역되는 ‘action research’를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실천가인 레빈(Kurt Lewin, 1890-1947)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action research’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빈은 인간의 행동(behavior)을 과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을 철학이나 생리학으로부터 독립된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했다. 그 목적을 위해서 그는 장이론(field theory)을 개발했다. 장은 한 사람의 주변에 놓여있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이 그의 의식 속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한 사람의 주관적인 생활공간(life space)을 구성한다. 한 개인의 행동은 그가 어떤 장에 놓여있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레빈은 이러한 장이론을 바탕으로 집단 간 차별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집단 간 관계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획, 실행, 사실-발견의 나선적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사회적 실천 또는 합리적인 사회 관리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적 실천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에 의해서 구속되는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행위(action)이라고 불렀다. 그런 행위를 찾기 위해서는 장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당사자들을 관찰하고 면담하여 그들의 생활공간을 그들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 실험 등을 통해서 그들의 기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을 찾아야 한다. 레빈은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action-research’라고 불렀다.
    레빈의 ‘action-research’는 집단 간 관계에서 차별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기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행위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그러기 위해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가의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실천가들의 행동을 변화함으로서 사회를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레빈의 이러한 사회적 실천과 그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action-research’는 현재 한국의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Kurt Lewin (1890-1947), famous progenitor of action research and social psychology. He wa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social practitioner. This will help us find a way of performing it in Korean school situation.
    Lewin had tried to establish Psycholog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from philosophy or physiology by scientifically explaining human behavior. The Field Theory was his answer to his project. The field is a subjective inter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a person. The field constructs his life space and determines his behavior.
    On the basis of field theory, Lewin tried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iscrimination between social groups of Jews and Anglo or black and white. He suggests that the spiral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diagnosis is necessar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He called this as social practice or rational social management. The ke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is an action that is able to transform the behavior determined by the field of a person. It is the ne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person to comprehend his life space from his perspective. A comparative experiment will let us find out the proper action to change his behavior. Lewin called this process of inquiry as ‘action-research.’ The ‘action-research’ of Lewin is an inquiry exploring an action that can change existing behaviors that caus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in intergroup relationships into new behaviors. The primary purpose of his ‘action-research’ is to transform the behavior of practitioner. It is a means to change society.
    The social practice and ‘action-research’ of Lewin would be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chools. Viewing from a pupil’s perspective can be a case of Lewin’s ‘action-research’ for Korean school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