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와 교사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서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Making Digital Avatars as a Communication Spac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1.03
25P 미리보기
유아와 교사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서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 / 20권 / 1호 / 75 ~ 99페이지
    · 저자명 : 동풀잎, 전하윤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과 교사들의 소통을 위해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라는 활동을 제안하고, 어떻게 그들이 아바타 만들기를 통해 소통하고 의미를 구성하는지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 참여자인 만 4세 유아 11명과 초임교사 1명은 3개월 동안 24회의 아바타 만들기와 관련한 여러가지 활동들(예: 자신의 아바타 만들기, 친구 아바타 만들기, 교사 아바타 만들기, 교사가 유아 아바타 만들기)을 함께 진행하였다.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들(참여관찰, 사진/영상분석, 비구조화된 유아/교사 면담, 아바타 자료 수집, 교사 저널 분석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유아들은 친구와 함께 아바타 속 아이템들에 대한 친구의 의견을 묻고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다양한 협상과 타협을 통해 교감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친구가 만든 아바타 속 다양한 의미들을 듣고 자신만의 의미로 변형, 재창조하며 아바타에 대한 의미들을 새롭게 공유하였다. 교사는 유아들과 아바타 만들기를 통해 그들만의 크고 작은 일상적 서사를 함께 공유하고 대화하면서 서로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시켰을 뿐 아니라, 교사 자신의 모습과 행동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며 보다 열린 태도로 유아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활동은 자유롭고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포용하며 다양한 의미들이 서로 연결, 배치. 이탈, 변형, 조합, 재창조되는 리좀적(rhizomatic) 소통 공간이자, 화자-타자, 디지털-아날로그, 실제-상상의 경계를 허무는 중요한 사회적 실험공간이 되었다. 본 연구의 다양한 소통의 사례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유아들과 교사들의 소통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함께 디지털 미디어 사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ggests making digital avatars as a communication and empathy space for children and teachers while looking into how the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via their avatars in their classroom. Research participants (11 four-year-olds and their female teacher) conducted their various avatar projects for three months. For instance, a child made an avatar representing their teacher and their teacher made an avatar showing the child. And then they shared and introduced their avatars to each other. During their avatar project activities, we collected the data vi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g., participant observa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eacher and children, analyzing avatars, videos, photos, and teacher’s journal). As a result, young children actively asked and listened to their friends’ ideas to make their friends or their avatars. In the process, some children actively tried to negotiate with their friends to select items on the avatar application. Also, children changed and (re)created different and new meanings after listening to friend’s meanings on avatars. Then, they re-shared their new meanings in a creative way. Through making avatars, the teacher and children shared their big and small everyday stories and built strong attachment. For the teacher, listening to her children’s ideas on herself via avatars having her behavior, facial expression, and less communications gave her time for reflective thinking and an open mind on her children despite the busy schedule at school. Making avatar projects provided the teacher and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feel about themselves and others and to express their thoughts in new and open ways for their active and dynamic communication and meaning-making. In the process, they encoded and decoded their avatars with their symbols, signs, ideas, and experiences, which facilitated communications and empathy. As a rhizomatic place of communications, making avatars offered them opportunities to embrace, connect, assemblage, deviate, change, and recreate their different and various experiences and meanings. Moreover, as their vital social experimental space, making avatars broke down boundaries such as listener-speaker, digital-analog, real-imagination.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offer a new lens to understand communic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using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