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에 관한 새로운 증거와 의미: 참전일본군 및 손실자수 (New Evidence on Imjin War and its Meaning: The Number of Japanese Soldiers to participate in Imjin War and its Body Coun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임진왜란에 관한 새로운 증거와 의미: 참전일본군 및 손실자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가정책연구 / 28권 / 4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박희봉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이 불충분한 증거를 통해 쓰임에 따라 얼마나 왜곡되었는지, 그리고 새로운 증거에 따른 역사적 사실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군 합동참모본부가 1924년에 출간한 일본전사 조선역(임진왜란 편)에 기록된 일본군의 임진왜란 참전병력과 감소인원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진왜란에 관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임진왜란 중 일본군은 최소 22만 4천명이 넘는 병력이 참전했고, 이들 중 약 14만명이 조선 땅에서 사망했거나 치명적인 부상을 당해 일본으로 후송됐다. 60%가 넘는 참전 일본군이 손실되었다. 둘째, 일본군이 임진왜란 각종 전투를 지배했던 시기는 초기 2개월뿐이었다. 셋째, 명군이 임진왜란에 참전한 것은 사실이나 명군은 일본군과 단 두 차례의 대규모 전투를 치렀을 뿐이다. 명군은 제4차 평양성전투에서 승리했지만, 곧 이은 벽제관전투에서는 일본군에게 패배했다. 넷째, 임진왜란 각종 전투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가장 많이 치른 당사자는 조선관군이다. 진주대첩, 행주대첩, 한산대첩 등 임진왜란 3대첩을 이끈 주역은 조선관군이었으며, 대부분의 의병 대장은 전・현직 관료였고, 전직 관료는 국왕으로부터 관직을 다시 제수 받았다.
    이러한 역사 진실은 그 동안 임진왜란에 대한 역사인식이 증거를 통해 이루어지지 않고 일본총독부에 의한 역사왜곡이 얼마나 심한지를 역력히 보여준다. 지금이라도 증거에 기초한 역사 정책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clarifies how much distorted the Korean history on Imjin War is, and what is the real historical fact of the war according to new evidence on the war. For the purpose, this paper analyzes the number of Japanese soldiers to participate the war and its body count.
    8 high school and 6 middle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on Imjin War.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ontexts of the all textbooks have terrible errors. This means that Korean history was distorted by Japanese historians during Japanese Occupation from 1910 to 1945. This intentional distortion of Korean history must be corrected. Therefore, this paper discuss why the ‘setting Korean history right’ policy is necessary and how the policy might be carry out. This paper refer to the literature, Japanese War History on Imjin War, which published by Japanese Army Headquarter in 1924.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ings : First, more than 224,000 Japanese soldiers participate in Imjin War, and more than 12,000 soldiers (60%) are dead or critically wounded. Second, the period when Japanese troops dominated the war is just initial two months from April 13, 1592 to June 15, 1592. After that time, Japanese troops continuously withdraw to southern area of Korea by the continuous attacks of Korean military. Third, Chinese army came to Korea on January, 1593, and fight against Japanese troops only twice. They won the battle in Pyongyang, but were defeated the battle in Byokjekwan. After lose, they withdrew to Kaesung, and there are no battle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troops till the end of Imjin War. Fourth, the major forces to expel Japanese troops are Korean government army and navy. The army and navy won the three major victories against Japanese troops in Jinju, Haengju, and Hansando, and most of the leaders to rais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are ex or present government officials.
    These real history shows that Korean historical consciousness on Imjin War is not made by the historical evidence, but by the historical distor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from 1910 to 1945. Historical policy by evidence must be nee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가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