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종교의 근대적 각성 -원불교의 새로운 회상을 중심으로- (Modern Awakening of Korean Religions ―Focusing on the New Order of Won-Buddh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9.02
32P 미리보기
한국종교의 근대적 각성 -원불교의 새로운 회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韓國宗敎 / 45권 / 3 ~ 34페이지
    · 저자명 : 이민용

    초록

    원불교 개교 100주년을 맞은 지금, 원불교는 종교학이 다룰 수 있는 거의 모든분야를 접근할 수 있는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이제 원불교는 그 형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역사적 상황, 문화적 연관, 종교적 맥락에서 그것이 지닌 교리 체계와 신앙 그리고 상징들에 이르기까지 한 종교가 지닌 어떤 분야에서건 그것의 학문적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원불교에 관한 가장 중요한 주제는 ‘원불교 형성의 역사적 정황’에 관한 것이다. 곧 한국의 개화기와 민족의 고난 시기인 식민지 시대 원불교가 어떻게 형성되었느냐 하는 발생론에 대한 문제이다. 소위 근대성이 내포하는 폭력성과 제국주의의 억압 속에서 민족종교로서 원불교는 어떤 전통을 잇고 있으며, 그런 전통의계승은 어떤 정통성을 지닐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일 것이다. 이 글에서는 혼합 성(syncretism)으로서의 발생의 문제, 2) 불교적 시원성의 문제, 3) 새로운 회상으로서의 불교 개혁론, 즉 불교 개혁론으로서의 공동체주의와 새로운 종단의 성립 문제 등을 종합 검토를 함으로써 원불교에 대한 새로운 회상으로서의 평가를개관하였다.
    원불교는 한국의 개화기와 일제 강점기의 서구적 근대가 한국을 예속시키고억압하는 시기에 출현하였다. 동학운동이나 증산교의 활동, 정역적 해석 등, 민족·민중 전통의 영향을 받으며 동양의 유·불·도의 혼성적인 특징도 전수받고 있다. 그리고 기독교나 사회진화론(强者弱者 進化上要法) 등 당시 한국에 유입되는외래사상의 영향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태산은 자신의 정체성을불교에 두고서 불법의 근대적인 변용을 시도하였다. 전통불교의 개혁론이라는 표제 밑에 외방의 불교를 조선의 불교로 내면화/자기것화하고 소수인의 불교를 대중의 불교로, 등신불 숭배를 불성 일원상의 포괄적 상징으로 개혁하여 분열된 교화과목에 일관성 있는 통일을 추구하였다. 그의 만년의 결실인 불법의 시대화·대중화·생활화라는 기치를 내세운 불법의 근대적인 새로운 고유의 어휘로 전환시켰다. 전통불교의 시각으로 볼 때 이것은 새로운 회상, 새로운 교상판석이며 따라서새로운 교체의 설립으로 생각할 수 있다. 원불교는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강령 아래 새 교체의 설립과 함께 강력한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한 종교이고, 근대 한국종교의 근대적 각성에 대한 산 증거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Now, when Won-Buddhism has come to the moment of it’s 100th anniversary, it has become more complete as a religion and can be studied in a wide variety of ways from the point of view of religious studies. Won-Buddhism can be studied in an academic manner in a wide variety of ways that include its formation as a religion, its historical circumstances, cultural relations, doctrinal system and articles of faith, and symbols―all in a religious context.
    The most important theme concerning Won-Buddhism is with regard to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Won-Buddhism.’ In other words, this topic is concerned with the emergent theory of how Won-Buddhism was formed in the age of colonialism that coincided with the period of Korea’s opening and national hardship. It is an issue that deals with the violent and imperial suppression inherent in so-called modernity and the traditions Won-Buddhism as a national religion aspires to bequeath and what legitimacy such a bequest of tradition can have. This paper outlined the evaluation of Won-Buddhism as a new Order by reviewing systematically 1) the issue of the emergence of syncretism, 2) the issue of origination based on Buddhism, 3) the issue of community ideology in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as a new Order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宗敎”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