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서의 디지털 디바이드 - 새로운 격차(divide)를 중심으로 - (The Digital Divide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 Centered around a new divide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4.11
34P 미리보기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서의 디지털 디바이드 - 새로운 격차(divide)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25권 / 4호 / 117 ~ 150페이지
    · 저자명 : 이권일

    초록

    우리 헌법 제11조에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며 누구든지 성별ㆍ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평등의 사전적 의미는 권리, 의무, 자격 등이 차별 없이 고르고 한결같음이다. 사전적 의미를 그대로 해석하면 어떤 대상들이 있을 때, 이 대상들을 구별하지 않고 어떤 상황에서든 동등하게 대우하는 것이 되고 이는 보통 절대적 평등이라는 용어로 지칭된다.
    그러나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평등의 의미는 일체의 차별적 대우를 부정하는 절대적 평등이 아니라 입법과 법의 적용에 있어서 합리적 근거없이 차별할 것은 금지하는 상대적 평등을 의미하는 것이고, 법적 기회의 평등을 의미하는 것이지 결과의 평등이나 사실상의 평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질적으로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취급할 것, 그리고 합리적 근거가 있는 차별이나 불평등은 헌법상 용인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차별이 있다고 해서 바로 불평등한 것은 아니고 그 차별에 합리적 근거나 이유가 없을 경우에 헌법적 정당성이 없으므로 평등권에 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디지털 디바이드의 경우 격차와 차별, 불평등이 혼재되어 있다. 다만 디지털 기술에의 접근이나 인터넷에의 접속에의 차별이 발생하는 경우와 디지털 기술을 사용할 역량이나 기술의 격차에 의해 차별이 발생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과거 디지털 기술의 초창기나 인터넷 접속이 소수의 전문가 등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경우, 디지털 기기의 사용에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한 차별을 불평등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격차에 의한 차별이 헌법상 정당화되지 못하는 불평등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과 사용이 모든 국민에게 일반화되었고, 국가의 보편적 역무로 여겨질 만큼 국민 전체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기술을 향유하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격차와 소외는 헌법상 평등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 불평등을 기존의 헌법상 평등권에 반하는지 아닌지의 문제로 바라보게 되면 디지털 디바이드의 문제해결은 소극적 기회의 제공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소극적 기회의 제공으로는 현재의 디지털 차별문제를 해결하기가, 또는 앞으로 나타나게 될 디지털 차별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지금의 디지털 기술의 발달 속도는 너무나 빠르고 특히 코로나 19를 거치면서 사회가 디지털화하는 속도에 가속도가 붙으면서 현재의 격차가 미래에는 더욱 더 큰 격차로 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규범학적으로는 헌법상 평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애매한 영역에 있어서도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이유이다. 아마 이 영역은 평등권에서 논의되기 보다는 사회적 기본권의 영역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디지털 포용정책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국회에 관련 법안이 발의되어 있는데, 유럽과 독일에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고민해 보고, 법안논의과정에서 디지털 포용에 대한 정의나 구체적 실현방안들이 더 구체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Article 11 of our Constitution provides that all citizens are equal before the law and that no one shall be discriminated against in any area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or cultural life on the basis of sex, religion, or social status.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equality is the uniformity of rights, duties, and qualifications without discriminatio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equality is the equal treatment of a group of people, whenever they are present, in all circumstances, without distinction,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absolute equality. However, the meaning of equalit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s not absolute equality, which prohibits any discriminatory treatment, but relative equality, which prohibits discrimination without reasonable grounds in legislation and application of the law; it means equality of legal opportunity, but not equality of outcome or de facto equality. Therefore, it is interpreted as treating essentially the same things the same and different things differently, and any discrimination or inequality that has a reasonable basis is constitutionally permissible. Therefore, discrimination is not necessarily unequal, but if there is no rational basis or reason for the discrimination, it is constitutionally unjustified and therefore contrary to the right to equality.
    Digital divide is a mixture of disparities,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However, if we look at the case of discrimination in access to digital technology or access to the Internet and the case of discrimination due to disparities in capabilities or skills to use digital technology, it is unlikely that discrimination due to disparities in the early days of digital technology, when access to the Internet was limited to a few professionals, or when the use of digital devices required specialized knowledge, can be called inequality. The reason why discrimination based on such disparities may be constitutionally unjustifiable is that access to and use of digital technology has become common to all citizens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ntire population to the extent that it is considered a universal duty of the state. In such cases, the disparity and marginalization between those who have access to digital technologies and those who do not can become a constitutional equality issue.
    However, if digital inequality is viewed as a question of whether or not it violates existing constitutional equality rights,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may be limited to the provision of passive opportunities. This is because passive opportunity provision is unlikely to address current digital inequalities, or even exacerbate future digital inequalities, because the pace of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is so rapid, and the pace at which society is digitizing, especially in the wake of COVID-19, is accelerating, that current disparities are likely to become even greater disparities in the future. This is why it is believed that active state intervention is necessary, even in areas where the question of constitutional equality is ambiguous. Perhaps this area should be discussed under the umbrella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rather than equality rights. However, before we move on to the area of social fundamental righ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is an overlap between equality rights and social fundamental rights, and that the digital inclusion policies in Europe and Germany are instru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