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出 高麗 水月觀音圖-새로운 양식의 성립과 계승 (Newly Discovered Water-Moon Avalokitesvara of the Goryeo Dynasty -Establishment of New Style and its Transmiss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3.06
25P 미리보기
新出 高麗 水月觀音圖-새로운 양식의 성립과 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4호 / 29 ~ 53페이지
    · 저자명 : 정우택

    초록

    承天寺는 현재의 행정구역상 福岡市 博多區에 있는 臨済宗 사원으로 1242년 鎌倉時代에 창건되었다. 承天寺는 조선에 대장경을 구하러 오는 등 역사적으로 한반도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사찰이다. 承天寺에는 현재 두 점의 水月観音圖가 전하고 있는데, 한 점은 전형적인 고려불화로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고, 또 한 점은 이 글의 주제인 輪王坐像의 그림이다.
    윤왕좌 수월관음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이며 크기는 세로 97.1㎝, 가로 47.5㎝로 거는 그림의 형상으로 보존 상태가 아주 좋다. 画面의 중앙에는 관음보살이 바위 위에 정면을 향하여 앉아 있고 그 주위에 선재동자와 정병, 바위가 표현되어 있다.
    채색은 몸체부 전면에 金泥를 칠하였고 윤곽선은 朱線이며 눈썹은 朱線 위에 녹청을 칠하여 표현하였고, 머리카락은 군청이다. 천의는 갈색계 안료를 전면에 칠하고 백색 안료로 二重 채색하였으며 그 위에 금니로 점문을 그려 넣었다. 베일은 백색 안료로 윤곽을 잡고 麻葉文을 그려 넣어 투명한 듯 표현하였다.
    이 그림은 얼굴 표현, 베일의 마엽문, 목걸이, 치마의 백색안료에 의한 二重채색 등 화면구성요소의 표현과 형상이 고려불화의 기본적인 묘법에 바탕을 두고 그려졌다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大和文華館의 수월관음도는 承天寺 그림의 제작시기 추정과 관련하여 주목된다. 大和文華館本은 반가좌이기는 하지만 正面向이어서 承天寺本과 상통하고 있다. 더구나 兩本은 천의와 영락 양끝의 두 가닥의 띠의 형상이 거의 같고 특히 영락 양끝에서 시작한 두 가닥의 띠 자락을 왼손으로 누르는 듯 표현한 모습마저도 일치한다. 또한 兩本은 베일을 마치 띠 형상의 투명한 듯 표현된 베일을 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암좌의 좌우로 흘려 내리게 한 표현 의도까지도 상통하고 있다. 그리고 兩本은 치마에 菊花文만 표현하고 있음도 동일하다.
    한편 兩本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점이 많지만 14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大和文華館本이 承天寺本에 비하여 채색이 부드럽고, 자세 역시 자연스럽다. 즉 大和文華館 수월관음도는 承天寺 그림보다 구성요소들이 율동적이고 유기적인 관계에서 앞서고 있어 제작시기가 다르다고 짐작한다.
    또한 承天寺 수월관음도는 베일의 백색 마엽문이 大和文華館本에 비하여 한층 두드러져 보이며, 치마의 국화문이 형식적이고 나아가 금니의 사용이 지극히 소극적이며, 바위의 표현에서도 화풍의 차이를 뚜렷하게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제작시기가 내려올수록 형식화 경향을 보이는 고려불화의 화풍과 일치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承天寺 그림의 제작시기는 14세기 말엽으로 짐작된다.
    윤왕좌 도상의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에서는 첫 사례로 매우 이례적이다. 그러나 윤왕좌 도상은 鏡像과 조각상을 통하여 볼 때 이미 고려의 불교 도상에 수용되어 있었고 朝鮮王朝에도 계속 제작되었다.
    윤왕좌 관음도상의 源流는 淸凉寺 목조석가여래입상 복장품인 985년 鏡像에 새겨진 수월관음상이다. 宋代의 윤왕좌 관음보살도상은 1132년경의 開化寺 石刻 수월관음도를 비롯하여 宋代뿐만 아니라 遼代에도 조각상의 중요 자세로 자리 잡는다.
    윤왕좌의 수월관음도는 承天寺 수월관음도의 사례를 통하여 볼 때 경상, 조각과는 달리 고려시대 말기인 14세기 말엽이 되어서야 수용된 이유는 명확하게 알 수 없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고려불화의 특성인, 전통도상을 固守하려는 保守性, 두 번째는 추측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지만, 신앙의 변화와 그에 상응하는 도상의 필요성과 관련이 있다고 짐작한다. 즉 14세기 불교는 관념적 성향에서 점차 현실적 으로 인식이 바뀌었고 이에 부응하여 觀想의 성격이 강한 측면향 보다는 顯現性이 강한 정면향, 對面的 관음보살상이 효과적이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承天寺의 수월관음도에서 비롯된 윤왕좌 관음보살상은 고려불화 전통의 반가좌 도상을 대신하여 이 이후의 관음보살상의 기본자세로 자리를 잡게 된다. 즉, 윤왕좌 관음보살도는, 京都 知恩院의 1550년 관음32응신도를 비롯하여 특히 18세기에 유행을 한다.
    한편 梅林寺의 1427년 수월관음도는 조선조 초기의 불화 경향을 전해주는 귀중한 그림으로 承天寺 그림과는 기본자세가 다르지만 착의법은 물론 세부의 표현과 기법에서도 아주 유사하다. 이 그림은 고려불화 화풍의 수용 양상을 짐작하는 매우 중요한 사례이다. 이를 통하여 볼 때, 承天寺 수월관음도의 표현과 기법은 大和文華館本을 수용하여 梅林寺의 1427년 수월관음도로 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承天寺의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에서는 지금까지 사례가 없었던 윤왕좌 도상의 그림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즉 이 그림은 조선시대를 풍미하는 윤왕좌 관음보살 도상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역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윤왕좌 도상의 수월관음도 출현은 당시의 신앙 경향과 새로운 도상을 요구하는 정서에 부응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며, 이는 이미 정착하고 있었던 경상과 조각상 윤왕좌 도상을 수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짐작한다. 따라서 조선조 불화에 보이는 윤왕좌 관음보살상의 원류를 1443년경의 중국 法海寺 벽화를 비롯하여 明代 불화에서 찾으려는 인식도 이제는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
    承天寺의 수월관음도는 고려불화의 도상과 기법의 다양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영어초록

    Zoten-ji(承天寺) which is currently located in Hakata district in Fukuoka city (福岡市博多区) was established in 1242 during the Kamakura period(鎌倉時代). Historically, the temple is known to have a close relation to Korean peninsula since it is known to have visited Joseon in search for Tripitaka. Currently, Zoten-ji holds two painting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one which is well known as the classic Goryeo Buddhist painting and the other is painting of bodhisattv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Water-Moon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is painted on silk, measures 97.1cm high and 47.5cm wide and preserved in good condition. Avalokitesvara is seated above a boulder facing the front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and Sudhana, kundika, and rocks are depicted around the bodhisattva.
    With respect to coloring, the body is painted in gold, the contours are painted in red, eyebrows are painted in green above the red lines and the color of hair is blue. The entire garment was first painted in brown pigment and double-coated with white pigment. Lastly the surface of the garment was decorated in dot patterns with gold pigment. The contours of veil are shaped with white pigment and hemp leaf pattern was painted to give a sense of transparency.
    The facial expression, the hemp leaf pattern of the veil, the necklace, the use of double-coating technique with white pigment on the garment and etc. all indicate that the representation and form of the painting’s compositional elements are based on the representational method of the Goryeo Buddhist paintings.
    Water-Moon Avalokitesvara in Yamato Bunkakan(大和文華館) is worthy of notice with regard to the dating of the painting in Zoten-ji. Although the painting in Yamato Bunkakan is seated in half-lotus posture, it is similar to the painting of Zoten-ji in that both bodhisattvas are facing the front. Further, representations of two sashes at the end of garment and necklace are almost identical in both paintings. Especially, the delineation of the left hand as if it is pressing down the two sashes which begin at the end of necklace is also the same. Furthermore, both paintings depict bodhisattva as wearing a veil which looks transparent and the representation of veil flowing on each side of boulder is also identical. The representation of garment which is decorated only with chrysanthemum pattern is also identical in both paintings.
    Even though two paintings share similar qualities in many aspects, the painting in Yamato Bunkakan is softer and more natural in terms of color and posture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Zoten-ji. Since the compositional element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Yamato Bunkakan is relatively more organic and active compared to that of Zoten-ji, the period of production of the two paintings seems to be different.
    Further, the white-colored hemp leaf pattern of the veil in the Zoten-ji painting is more vivid than that of Yamto Bunkakan. Chrysanthemum pattern of the garment is more rigid, the use of gold pigment is extremely passive, and the difference in style can be easily distinguished in representation of boulder. This phenomenon corresponds with the styl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hose style shows formalized tendency in later paintings. Therefore, the date of production of the Zoten-ji painting is presumed to be the late 14th century.
    Water-Moon Avalokitesvara in Zoten-ji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painting which depicts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in Goryeo Buddhist painting. However, the iconography of royal ease posture was already widely applied in Goryeo Buddhist art in bronze mirrors(Gyeongsang, 鏡像) and sculptures.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bodhisattv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can be found in Water-Moon Avalokitesvara carved in mirror which was found in a wooden standing Buddha sculpture at Seryo-ji(淸凉寺). The iconography of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is also found in the stone carving of Kaihua-si(開化寺) around the year 1132 during the Song dynasty. It is not only found in Song but also became an important posture of Buddhist sculptures in the Liao dynasty.
    Looking through the example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Zoten-ji, it is uncertain as to why the iconography of royal ease posture was relatively applied later in the late 14th century in paintings compared to bronze mirrors, and sculptures. One of the reasons may be due to the conservative character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hich persist the traditional iconography. The second reason, although it is a mere conjecture, may be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form of belief and the corresponding alteration of iconography.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14th century Buddhism have gradually shifted from a conceptual to a more realistic understanding. Correspondingly, I believe the frontal representation of Avalokitesvara which emphasizes the manifestation must have been regard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flanking view which emphasizes visualization.
    Water-Moon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starting from the painting in Zoten-ji began to replace the traditional half-lotus postur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became the basic posture of Avalokitesvara. In other words, starting from 32 Transformations of Avalokitesvara in Jion-in(1550), Kyoto, paintings of Avalokitesvara seated in royal ease posture became quite popular in the 18th century.
    Meanwhile, Water-Moon Avalokitesvara in Balin-ji(梅林寺, 1472) is an important painting which shows the Buddhist painting style of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posture of bodhisattva is different from the one at Zoten-ji, the two works are very similar not only in dress but also in representation and technique of details. It is an important example which helps to conjecture how the style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was succeeded. From this instance, it is clear that the representation and technique of Zoten-ji painting was influenced by that of Yamato Bunkakan and was later succeeded into the painting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Bailin-ji.
    Water-Moon Avalokitesvara of Zoten-ji is a significant work in that it is the first painting in which the bodhisattva is represented in royal ease posture. That is, it is a pioneering work which became quite popular in the Joseon dynasty. The advent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royal ease posture corresponded to the contemporary form of religion and the demand for new iconography. Such shift in the iconography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royal ease posture was already employed in bronze mirrors and sculptures. Therefore, attempts to look for the iconographic origin of Water-Moon Avalokitesvara in royal ease posture from murals of Fahai-si(法海寺) in China around 1443 or from the Ming Buddhist paintings need to be reconsidered.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of Zoten-ji is an important painting which demonstrates the iconographic and technical diversity of Goryeo Buddhist pain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