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회계제도의 생성과 발전의 역사: 새로운 증거 (The History of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Ancient Accounting Systems: New Evidenc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13.12
39P 미리보기
고대 회계제도의 생성과 발전의 역사: 새로운 증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22권 / 6호 / 179 ~ 217페이지
    · 저자명 : 정혜영

    초록

    본 연구는 지리적 괴리에 의해 지역간의 교류가 힘들었던 르네상스 이전의 고대사회에 초점을 맞추어 세계 각 지역의 회계제도의 생성과 발전 역사를 비교․분석했다. 이제까지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 및 자료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10만 년 전의 세계 최고(最古)의 인류 유적으로 알려진 남아프리카의 블롬보스(Blombos) 동굴의 재고 숫자를 연상시키는 기록은 회계의 기원으로 간주해야 한다. 이 유적은 원시인 공동체 내에서 경제활동에 대한 정보 공유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간의 타고난 창의성(즉, 회계능력)을 발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다수의 계정을 유지하면서 거래를 이중으로 기록했던 수메르(Sumer)의 토큰(token) 회계제도(B.C. 8,000)는 복식부기의 기원으로 간주해야 한다. 당시의 상황에 비추어 보아 상당한 회계비용을 발생시켰던 토큰 회계제도가 없었다면 다양한 고객과의 거래가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르네상스 이전의 세계 각 지역의 회계제도는 그 지역의 경제적 발전에 따라 독자적으로 생성되고 점진적으로 발전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대표적으로, 아라비아 회계는 종교 및 상업 발전에 부응하여 자카트(zakat) 회계와 게니자(Genizah) 회계로 발전했으며, 중국의 회계는 독자적으로 단식부기에서 단․복식부기의 공존, 그리고 복식부기로 점차 발전했다. 또한 고대 유럽, 잉카, 호주 원주민의 회계제도 역시 독자적으로 생성․발전했다. 회계제도의 지역간의 교류는 대체로 13세기 이후에 행해졌다.
    넷째, 르네상스 이전까지 전 세계의 회계제도는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속도로 발전했다. 이는 르네상스 이전까지 전 세계의 경제적 발전과정이 대체로 유사했기 때문이다. 다만 아라비아 지역의 회계제도는 이슬람 율법에 의한 상업 장려정책과 이익의 일부를 의무적으로 사회에 기여해야 한다는 자카트 제도 등의 영향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시대적으로 앞섰다.
    다섯째, 역사적으로 각 지역의 회계제도는 좀 더 완벽하고 질서정연한 방향으로 발전한 것이 사실이나, 그로 인한 정보손실과 회계비용의 증가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고대 회계에서는 자산평가손실을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회계등식 개념이 도입된 이후 실현주의가 지배하면서 미실현손익의 인식이 급격히 감소했다. 또한 고대에는 낮은 수준의 회계제도에 의존하면서도 이해관계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겪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왜냐 하면, 더 복잡한 회계제도가 필요했다면 인간은 그에 상응하는 제도를 고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현대의 모든 실체에 복잡한 회계제도를 똑같이 강요하여 불필요한 회계비용을 부담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르네상스 시대 이전의 세계 각 지역의 회계제도는 경제발전에 대응하여 꾸준히 발전해왔다. 그러나 복식부기제도가 정립된 이후, 지난 500여 년 간 세계경제는 눈부시게 발전했지만 회계의 발전은 거의 답보 상태에 있다. 그 이유는 19세기 유럽회계를 지배했던‘경제적 이익측정’ 사상의 포기와 대공황 이후 나타난 미국의 보수적 회계기준의 영향으로 우리 사회 전 분야가 수용할 수 있는 보편성을 상실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o compare historical developments of accounting systems which independently stemmed from various regions of the ancient world where inter- regional communication was difficult due to the geographical distance. Based on the archaeological evidence and records found to date, I summarize the results as follows:First, scratches engraved on ochre stones associating inventory tallies found in the Blombos Cavern in South Africa, the oldest known remains of human nature around 80,000 to 100,000 years ago, should be regarded as the origin of accounting activities. They are viewed as demonstrations of human’s innate creativity (so-called accounting capacity)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about economic activities in the prehistoric community.
    Second, the token accounting system of Sumer, which recorded transactions by maintaining multiple accounts around B.C. 8,000, should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double-entry bookkeeping system. Without the system that incurred considerable accounting costs at that time, commercial trades with diverse customers might have been impossible.
    Third, prior to the Renaissance, the accounting system in each region of the world originated independently and developed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s economic development. For example, in Arabia, following the economic growth, Sumer and Zakat accounting system evolved to Genizah system. In China, the single entry bookkeeping system gradually altered to the mixture of singles and doubles, and ultimately to the full double entry system. Moreover, accounting systems in primitive Africa, ancient Europe, Inca, and Australian aborigine, respectively, originated and developed independently. Inter-regional exchanges of the systems did not occur extensively until the thirteenth century although unignorant disseminations had been present within each region.
    Fourth, before the Renaissance, each region’s accounting system had improved in remarkably similar speed because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had generally followed similar steps before that time. However, the Arabic accounting system was relatively more advanced than those of other regions due to the commerce encouragement policy under the Islamic rule and to the Zakat system which obligated merchants to contribute part of the profits to the community.
    Fifth,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ancient accounting system in each region evolved in more elaborate and systematic fashion, such development did not necessarily mean desirable. The progress might rather bring forth information losses and greater accounting costs. For instance, after the introduction of accounting equation into the system, the subsequent realization principle drove out recognition of asset remeasurement gain or loss which had been frequently seen in old ages. Furthermore, in spite of adopting a low-leveled accounting system in ancient times, useful information seemed sufficiently provided to interests groups, which implies that it is unnecessary to impose a cost- induced complex accounting system on all entities.
    As mentioned above, prior to the Renaissance when the modern double-entry bookkeeping system established, an ancient accounting system in each region had consistently developed in response to its economic progress. However, for the past five centuries from the Renaissance to date, accounting systems have made little progress despite the remarkable economic growth in the globe. The reason for this stalemate, I argue, is the loss of transversality which all sectors of our society can accept. For instance, the abandonment of accounting thoughts to pursue economic income measurement which governed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domination of conservative accounting standards which arose after the Great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triggered the loss of transvers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