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에 관한 새로운 접근 (A New Approach to Type Classification of Legal Mode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8.02
46P 미리보기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에 관한 새로운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입법학연구 / 15권 / 1호 / 161 ~ 206페이지
    · 저자명 : 이경선

    초록

    대한민국의 국법체계는 법률-시행령-시행규칙-행정규칙과 자치법규 구조로 구축되어 있다. 법령과 더불어 행정규칙과 자치법규까지 합하면 12만 건이 넘는 국법체계가 형성되어 있다.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만 놓고 보더라도 1,420여 건에 이른다. 그런데, 행정규칙, 자치법규를 비롯하여 하위법령은 물론이고, 법률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정한 유형의 묶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법률 마다 고유의 입법 취지를 갖는 것이지만, 입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법제실무적 접근 방식이 유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모델 유형이 같은 법률은 응당 법률 내부의 조문 설계 구조와 일정한 문안의 내용적 측면도 유사성을 갖는다. 입법 취지도 천차만별이고 국법체계도 매우 복잡다단하지만, 이를 일정한 차별성 내지 비중도에 따라 나누어 보면, 대략 23종 내외의 법률 모델을 우선적으로 추출해 볼 수 있다. 법률 모델이 일정한 유형·패턴·그룹으로 분류된다는 것은 몇 가지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로, 아무리 복잡다단한 세상사라 할지라도, 법제화 단계에서는 일정한 패턴의 법제적 설계도 내에서 취급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 복잡한 세상사에 대한 좀 더 다양한 법제적 접근이 필요한데도, 법제화에 대한 우리의 인식 구조가 일정한 한계나 틀에 갇혀있다는 뜻일 수 있다. 셋째로, 법률 모델의 유형적 분류화는 입법화 초기단계에서 참고기준으로 삼고 있는 법령입안기준을 너무 맹목적·무비판적으로 답습해 온 결과일 수 있다. 넷째로, 앞서 만들어진 입법례를 긍정적으로 참고한 것일 수도 있겠으나, 이는 동시에, 앞서 만들어진 입법례의 틀과 선례주의에 구속되는 경향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별다른 법제 창작 노력 없이 입법실적주의에 천착한 나머지 입법례를 매우 의도적으로 표절한 관행의 결과일 수도 있는 것이다. 개헌과 함께 국법체계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정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현행 법률의 유형화는 여러모로 유용한 활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 글을 시작으로 법률 모델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national law system in Korea is composed of laws, regulations, enforcement rules, administrative rules, and local laws.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rules and local regulations, including Acts, is more than 120,000. Even considering the law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re are about 1,420 acts. However, if you look closely into the administrative rules, local laws, and laws, as well as subordinate statutes, you can classify them into certain types. Although laws have their own legislative intent, it is thus possible to classify the model of law because of their similar legislative practical approaches to achieve legislative purposes. If the models of law are similar, the design structure of articles within the law is similar. Although legislative purposes vary widely and the legal system is very complicated, it can be classified into approximately 23 different models of law divided by a certain standard. The classification of legal model types enables several interpretations. First, even if the world is involved in complicated matters, they can be treated with a certain pattern during the legalization stage. Secondly, even though a more diverse legal approach to the complicated world is needed, the recognition structure of the legalization of the law remains at a certain limit. Third,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legal models may result from an uncritical adherence to the legal drafting standards that are being adopted as reference criteria in the legislating stage. Fourth, you can also see the positive references to the rules that we created earlier, at the same time, they are likely to be bound by examples of the rules set up earlier. Also, the practice of copying examples of the rules without any effort can be problematic. Amid the growing need for extensive modification of the legal system, starting with this article,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current laws should be conducted more clos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