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동엽의 새로운 혁명, ‘중립’ (The new revolution of Shin Dong-yup, ‘Neutra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4.12
30P 미리보기
신동엽의 새로운 혁명, ‘중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63호 / 73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희정

    초록

    이 논문은 신동엽이 지향한 ‘세계’의 단면을 예시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논의의 주변부에 머물러온 ‘중립’의 표상이 그의 혁명적 비전과 맺는 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그의 시가 당대는 물론 현시대에도 계속해서 ‘시의 정치성’을 논하는 담론의 중심부로 소환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1960년대라는 근현대사의 결절지점을 치열하게 돌파해간 신동엽 시는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재고찰을 요구하는 현재의 비평담론 안에서 반드시 이야기하고 넘어가야 할 기원적 지점이다. 특히 그의 시는 4․19라는 혁명 체험이 하나의 ‘사건’으로 문학 속에 기입되고 이로써 시적 실천의 새로운 좌표가 창출되는 순간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신동엽은 무엇보다 4․19에 대한 당대의 정치사회학적 지평을 넘어 4․19 이후에 대한 유효한 전망을 마련하고자 고심했던 시인이다. 이는 4․19를 ‘동학농민운동―3․1운동―4․19’로 이어지는 민중혁명의 계보 안에 위치시키는 방식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시인은 ‘혁명’을 실현 불가능한 것의 영역에서 실현 가능한 것의 영역으로 옮겨오고자 시도한다.
    그가 마련한 역사적 전망 속에서 혁명은 크게 두 번의 단계를 거쳐야만 완성될 수 있다. 체제에 대한 극단적 부정으로서의 첫 번째 단계와 새로운 삶의 질서를 창안하는 두 번째 단계라는, 두 계기가 필요한 것이다. 신동엽이 혁명의 작인으로 호출하는 민중주체는 ‘동학농민운동―3․1운동―4․19’로 이어지는 미완의 혁명들을 반복하는 특수한 실천들에 참여함으로써 비로소 현실의 질서를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변화시켜나갈 수 있는 힘을 확보해간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4․19의 역사적 의미가 보충되고 임박한 혁명, 즉 4․19 ‘이후’에 대한 구체적인 전망이 제시된다. 그리고 그 핵심에 놓여 있는 것이 바로 ‘중립’의 표상이다.
    신동엽의 ‘중립’은 당대의 정치지형학적 의미 권역을 훌쩍 넘어선 곳에 놓여 있다. 무엇보다 그것은 새로운 질서의 창안이라는 새로운 혁명의 과업을 위해 봉사하는 구조적 원리로 등장한다. 그의 전체 시세계 안에서 ‘중립’은 타자의 타자성을 인정하는 주체들 간에 형성된 ‘평등’ 상태를 의미하는 데까지 확장되고 있으며, 시인은 바로 이러한 상태를 통해서만 구성원 전체가 ‘주인’이 되는 일상구조가 가능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이는 곧 ‘중립’이 신동엽이 상상하는 유토피아를 틀 짓는 핵심 원리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립’을 이러한 방식으로 읽어내는 순간 그가 상상적으로 펼쳐 보인 유토피아는 ‘자본주의 이후’를 꿈꿀 수 있게 해주는 실정적 참조물이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의 유토피아는 지나간 혁명을 반복하는 것을 넘어 도래할 혁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신동엽 시의 현재성은 이렇게 혁명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을 경유해 ‘중립’을 새로운 사회 질서의 원리로 정립시켜가는 과정을 통해 마련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makes a close inquiry into the relation between Shin Dong-yup’s representation of neutrality and his revolutionary vision. The representation of neutrality has hardly been discussed in depth although it indicated an aspect of the world Shin had aimed for. This research then tries to highlight the reasons to keep recalling poets of Shin as resultful text of politics of poetry not only in his time but also till now.
    Shin Dong-yup’s poetry, which fiercely broke through 1960s, a tubercl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s an original point that is needed to be discussed in current critical discourse requiring a reconsideration of politics of literature. Literary works of Shin showed the dramatic moment of creating the new coordinate of poetic practice as the experience of 4․19 was recorded in literature as the event. Shin Dong-yup grappled with finding a valid prospect after 4․19, overcoming politico- sociology perspective of the time on 4․19. The prospect was taken concrete shape by Shin to place 4․19 in the process of the tradition of people’s revoluti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3․1 Independent Movement and 4․19. Through this, Shin tried to bring revolution in the area of feasibility from the area of unfeasibility.
    The revolution in historical perspective arranged by Shin would be completed through two stages. Both the extreme negation of current system as the first stages and creation of new life order as the second stages are required. People, principal agent of revolution, called up by Shin Dong-yup have secured power to change the order of real world slowly but continuously as they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se special practices of uncompleted revolutions includ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3․1 Independent Movement and 4․19. Historical meaning of 4․19 has been complemented through this process and concrete perspective for an upcoming revolution, the afterward of 4. 19, has been suggested. The very core of this process placed in the representation of neutrality.
    Neutrality of Shin passed beyond the bounds of politico-geomorphology of the time. Above all, neutrality appeared as a structural principle serving the new revolution, creating the new order. Neutrality in his whole world of poetry, even meant the condition of equality among the principal agents who recognized otherness of others. Shin emphasized that the daily life structure, in which every single member of the community is owner, is possible only through this condition. This showed that the neutrality played a core role in framing utopia Shin Dong-yup dreamed for. If neutrality was interpreted in this way, utopia, which was shown as Shin’s imaginary, would be a true reference, permitting to dream of ‘after Capitalism’. Through this, his utopia proceeded with indicating an upcoming revolution, passing over repeating the past revolution. It is assured that nowness of Shin Dong-yup’s poetry has been prepared through the process which neutrality is established as a principle of new social order via genealogical exploration on revolu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