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향촌 선비 金樂運의 현실 비판 의식 (18th Century Country Scholar Kim Nak-Woon(金樂運)'s Critique of Reali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22.06
29P 미리보기
18세기 향촌 선비 金樂運의 현실 비판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4호 / 187 ~ 215페이지
    · 저자명 : 김종진

    초록

    이 글은 18세기 말엽 시골에서 일생을 마친 선비 김낙운(金樂運,1707~1764)의 국가·사회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 그 의의를 따져 본 것이다. 김낙운은 평범한 선비였는데, 그가 남긴 글에는 날카로운 비판과 풍자의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 때는 영조 임금 재위기간으로 정국이 대체로 안정된 시기였지만, 영조의 즉위를 주도한 노론 세력에 반발하여 일부 남인과 소론 세력이 손잡고 일으킨 무신난 등의 혼란과 사도세자의 죽음을 부른 당파적 갈등이 있었고, 점차 조선 후기의 말폐적 증상이 만연해 가던 시기였다. 김낙운은 평생 유학을 공부한 선비로서, 현실 정치에 발을 들여 놓지는 못했지만, 거기에 보이는 문제점들을 직시하고 있었고, 그것은 그가 남긴 두 작품 「극대(棘對)」와 「척변(跖辨)」에 함축되어 있다. 「극대」는 가시덤불을 의인화하여 지식층과 지도층 인간의 잘못된 행태에 대해 작자와 논쟁을 벌인 이야기이고, 「척변」은 역사 속의 전설적 도적인 도척(盜跖)에 비견하여, 각계각층에 숨어들어 도척보다 더 악랄하게 세상을 좀먹는 무리들을 고발하는 내용이다.
    두 작품을 단순히 풍자적 문학성을 살피는 관점에서 보면 그저 흔하게 재미를 주는 단편 콩트와 다름없으니, 별 의미가 없다. 그래서 작품이 나온 시대적 배경과 작자의 처지를 비추어 살펴 본 결과, 직설적으로 전개되면서 다분히 사실적인 현실 비판의 이야기는 문제의 핵심을 꿰뚫었고, 그 너머에는 강렬한 경고성 메시지도 내재되어 있었다. 그것은 백성을 교화로 이끌어야 할 지식인과 지도층에 대한 경고였다. 나라와 백성보다는 정파나 개인의 영달과 이익에 매몰된 것을 개탄하고 고발하면서, 그런 세상이 계속되어서는 나라의 미래가 없다고 외치는 일개 향촌 선비의 절규로 형상화 된 것이었다.
    그러나 그 후, 조선 말기 150여 년 간은 그가 걱정한 것 보다 더 악화된 세상으로 변해 갔다. 피비린내 나는 이전투구에 수단과 방법을 다하여 권력을 차지한 무리들은 나라와 백성에 해로운 길도 자기네 권력을 유지하는 길이라면 주저 없이 밀어붙였고, 끝내 나라가 망했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지만, 과연 그가 개탄한 세상의 문제점이 절반이라도 개선되어, 국가 시스템이 유연하게 돌아갔다면, 그 후 망국으로 치닫는 비극은 없었을지도 모른다. 여기에 오늘날에도 세상을 좀먹는 그런 무리가 많음을 보면서, 대처할 바를 고민해야 할 이유가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ritical perception of the national and social reality of the scholar Kim Nak-Woon (金樂運, 1707-1764), who ended his life in the countryside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Kim Nak-woon was country scholar, and his writings show the aesthetics of sharp criticism and satire.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英祖), the government was generally stable, but there were chaos and factional conflicts that led to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and the chaos caused by some Namin(南人) and Soron(小論) forces in opposition to the Noron(老論) forces who led the reign of King Yeongjo. It was a period when the debilitating symptom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gradually becoming prevalent. As a scholar who studied Confucianism for the rest of his life, Kim Nak-Woon did not set foot in real politics, but he was facing the problems that appeared there. was implied 「Geukdae(棘對)」 is the story of a debate with the author about the wrong behavior of human beings as intellectuals by personifying the thorn bushes, and 「Chokbyeon(跖辨)」 is compared to the legendary Thief in history, hiding in all walks of life. It was about accusing a group of people who corrode the world more viciously than robbery.
    If you look at the two works from the point of view of simply examining satirical literature, they are nothing more than a short conte that is usually entertaining. 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the work was published and the writer's situation, the story of the criticism of reality, which unfolds directly and is quite realistic, penetrates the core of the problem and has a strong warning message behind it. It was a warning to the intellectuals and leaders who should lead the people to edification. It was embodied as the cry of a local scholar, deploring and accusing him of being immersed in the achievement and interests of a faction or individual rather than the country and the people, and exclaiming that there is no future for the country if such a world continues.
    However, during the 150 ye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world turned into a worse world than he had feared. The groups that had seized power by using all the means and methods of their bloody former struggles without hesitation pushed forward even the most harmful ways to the country and the people if they were to maintain their power, and the country eventually collapsed. Although there are no assumptions in history, if the problems of the world he deplored had been improved even by half and the national system had run flexibly, there might not have been a tragedy leading to ruin after that. Here, seeing that there are many such groups that are corrosive to the world even today, there is a reason to think about what to do with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