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於于 柳夢寅의 생애와 間世立後 (Eou Yumongin’s Life and Ganseiphoo(間世立後))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7.11
20P 미리보기
於于 柳夢寅의 생애와 間世立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江原史學 / 29호 / 137 ~ 156페이지
    · 저자명 : 배재홍

    초록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후 광해군의 복위를 도모한 역모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처형된 유몽인은 1794년(정조 18)에 그의 7대 방계 후손인 유화의 상언이 계기가 되어 정조에 의해 신원이 이루어졌다. 이때 유화는 유몽인의 嗣孫으로 정해져 그의 제사를 받들게 되었다.
    그런데 유화의 사손 지정은 후사를 정하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었다. 세대를 뛰어넘어 후사를 잇는 간세입후였다. 따라서 19세기 내내 유몽인의 간세입후 개정을 둘러싸고 고흥[흥양]유씨 문중을 중심으로 논란이 벌어졌다. 특히 1879년(고종 16) 족보를 편찬할 때 커다란 논란이 일어났다.
    당시 유몽인의 간세입후 개정과 그에 따른 새로운 후사 지정 그리고 족보 수정을 적극적으로 주장한 자는 성재 유중교였다. 그는 유화를 가계계승의 책임이 있는 승중손이 아닌 시양자의 지위로 개정함으로써 간세입후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유몽인의 가계계승은 그의 직계 혈통인 庶孫으로 이으려고 하였다. 아울러 그는 이를 반영하여 족보를 개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유중교의 주장은 당시의 법이나 예로 보아 가장 합당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문중 일부에서는 유중교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이 이의 제기의 이면에는 서얼차대 관념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주장이 대립하는 가운데 논의의 결과 1879년(고종 16)의 족보 편찬에는 유중교의 개정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후일을 기약하기로 하였다. 이로써 족보 편찬을 계기로 벌어졌던 유몽인의 간세입후 개정 문제는 일단 봉합되었다.

    영어초록

    Yumongin was arrested and executed on a charge of taking part in a conspiracy to plan Gwanghaegun’s restoration after Injo ascended the throne in 1623. His innocence, however, was proven in 1794 through a letter written by his seventh generation scion, Yuhwa, to King Jeongjo. At this time, Jeongjo nominated Yuhwa as a descendant of Yumongin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Yumongin.
    However, this nomination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or law to determine a progeny to carry on a family line. That was an example of Ganseiphoo which connected the progeny, transcending generation. Therefore, there had been controversy around Goheung-Yu family throughout the 19th century over an amendment to Yumongin’s Ganseiphoo, the consequential designation of a descendant, and a modification of a genealogy. In particular, there was a great debate when a genealogy was compiled in 1879.
    At that time, Yujunggyo was a strong advocate for such modifications under debate. He tried to solve the issue of Ganseiphoo by changing Yuhwa’s status from a son who performs ancestral rites and has a responsibility for a family succession to Siyangja. He also sought to link the family succession of Yumongin to the descendants of Yuseok, who was the second son of a concubine, a direct lineage of Yumongin. In addition, he claimed that the genealogy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is change of a successor of Yumongin’s family line. Yujunggyo’s claim was the most appropriate to the convention and law of those days.
    However, some of Goheung-Yu family disputed Yujunggyo’s claim in that the genealogy should not be rashly revised, and Yuhwa was already adopted into another family. Such objections seem to reflect a notion of discrimination that a humble child of a concubine cannot become a descendant of Yumongin, who carries on the family line, and that offspring of one’s legal wife should not be adopted into descendants of a concubine. As a result of the competing arguments on these issues, Yujunggyo’s suggestion for the revision was not included in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in 1879, with a promise to handle it nex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江原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