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문 학습용 사전 수록 어휘의 선정과 체례 (Criteria and Regulations on Compilation of School Dictionary of Classical Chines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4.06
30P 미리보기
한문 학습용 사전 수록 어휘의 선정과 체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42호 / 147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우정, 김용재, 허연구, 김동규, 김병철

    초록

    이 글은 초・중・고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문 학습용 사전 편찬’ 제작을 위한 예비단계로서, ‘어휘’의 선정 기준과 배열 방안에 관하여 살핀 연구결과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여러 종류의 ‘자전’ 또는 ‘사전’이 간행된 바 있으나, 대체적으로 汎用이거나 혹은 전문가들을 위한 것이었을 뿐, 제도권 안에서 학교 현장 교육에 부합할 수 있는 특수 목적용으로 간행된 바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간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어 왔던 사전류의 문제점을 진단해 보고, 교실 수업에서 사용 가능한 ‘한문 학습용 사전 편찬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문학습용 사전은 학습자의 수행능력을 제고하는 배움중심 수업, 교사의 助力이나 참고서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과 집중’, 그리고 ‘확장성’을 그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선택과 집중’이란 첫째, 교과서 수록 문장을 위주로 어휘를 선택하고, 둘째 선택된 어휘에 대해서는 뜻풀이는 물론 단어의 짜임, 문법적 기능, 문장에서의 쓰임까지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문장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바르게 풀이하는 능력을 고취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례들을 예시로 서술하였으며, 끝으로 부연할 점은 ‘디지털 사전 편찬’에 관한 사안이다. 왜냐하면 ‘디지털 사전’은 앞서 거론했던 어휘 선정의 기준과 분량 등의 문제점들을 손쉽게 해결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사전은 검색을 주목적으로 하는 검색용 사전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는 매체이기도 하며, 이는 물리적 형태에 종속된 종이사전의 한계를 간단히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고의 후반부에서는 한문 학습용 사전 수록 어휘의 體例를 선보였다. 어휘의 독음․뜻․관련어․출전․용례 등만을 담은 기존의 사전과는 달리, 교육과정과 학업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단어의 짜임, 문법적 기능, 문장에서의 쓰임 등에 관한 설명을 추가함으로써 문장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풀이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어학사전 기능을 겸비하도록 개발하고자 할 경우에는 언어생활 및 타교과 학습에서의 활용가치를 중시하여 축자식 풀이를 기반으로 하는 어휘의 개념 파악에도 세심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authors would like to show some research results on criteria for selecting and ways of arranging words as a preparation step to compile a school dictionary of classical Chinese (漢文) which can be used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s. Until now, in our country, there are many kinds of ‘dictionary’ published, but most of them are available for common use or experts, while almost none are brought out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education in school.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some problems concerning the dictionaries used in schools nowadays and then seek possible ways to compile school dictionaries of classical Chinese. The authors hope that new dictionaries compiled based on those suggestions can help students in improving their proficiency in classical Chinese by themselves without the need for assistance from teachers or other reference books. Thus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suggest ‘collection and focus’ and ‘expandability’ as some criteria of the compilation. ‘Collection and focus’ means collecting words mainly from lessons in school books and then, by explaining minutely the definitions of those words, their structures, grammatical functions and syntactic rules etc, trying to improve the reading apprehension of students. After illustrating with examples, the authors add some issues concerning ‘compilation of digital dictionary’. The reason is that problems of criteria and quantity etc of words mentioned above can be easily resolved by using a digital dictionary. Digital dictionaries are suitable as word searching instruments, they seem to easily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paper dictionaries.
    Besides, in the latter half of the paper, the authors provide some examples of words in a school dictionary of classical Chinese. Different from a typical dictionary in which a word is defined by pronunciation, meaning, other related words, source and examples, the school dictionary, based on the real situ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explains words with structure, grammatical functions and usage in sentences, aiming at the improvement of the reading apprehension of students. Moreover, with the purpose of serving as a normal linguistic dictionary which can be used in other subjects, the author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attract a careful attention to the definition of words based on the word-by-word expla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