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n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看話三要): Based on Chan Essentials(禪要))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0.12
38P 미리보기
看話三要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고찰 -『高峰和尙禪要』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7호 / 139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숙현

    초록

    看話三要는 간화선 수행을 할 적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중요한 用心으로서 대신근, 대분지, 대의정을 말한다. 신심과 의심에 분심을 하나 더 첨가하여 간화삼요라는 체계를 세운 사람은 원대의 선사 高峯原妙이며, 그 출처는『高峰和尙禪要』이다. 본고에서는『선요』전반의 내용을 토대로 간화삼요가 구체적으로 어떤 용심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 보았다.
    간화삼요의 첫 번째에 해당하는 대신근은 화두를 참구하기 전에 먼저 갖추어야 할 용심이며, 신행의 첫걸음이자 깨달음을 이루게 하는 초석인 만큼 수미산을 의지하는 것과 같이 확고부동해야 한다. 믿음은 모두 네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깨달음의 문이 있다는 믿음, 불성에 대한 믿음, 화두공부에 대한 믿음. 스승인 본분종사에 대한 믿음 등이다. 그러나 간화삼요의 대신근은 불성에 대한 믿음과 화두공부에 대한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불성에 대한 믿음이 바탕이 될 때 도를 닦고자하는 발심이 생기게 되고, 또 화두에 대한 믿음이 있을 때 화두의심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大憤志는 화두참구가 수월해진 省力處에 이르렀으나 의정이 계속 지속되지 않을 때 필요한 용심이다. 이러할 때 더욱 간절한 마음으로 분발심을 내어 용맹정진을 해야 대의정이 일어나게 된다. 대분지는 대의정을 일으키게하는 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용심이라 하겠다.
    세 번째는 대의정이다.『선요』에서는 疑, 疑情, 疑團이라는 세 용어의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疑의 경우는 화두를 들다 또는 의심하다라고 할 때 쓰이는 용어로서, 화두를 처음 들기 시작할 때의 誦話頭, 念話頭까지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반면 疑情은 오롯이 화두만 간절하게 의심이 되는 화두일념의 상태이다. 대의정은 의정의 상태가 계속 이어지는 것인데 의정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분지의 용심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대의정은 대분지 이후 일어나는 용심이라는 특징이 있다. 그리하여 의정의 상태가 계속되는 대의정의 상태가 되면 화두와 내가 모두 고요해지는 무심삼매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疑團은 온통 의심덩어리로 뭉쳐져 있다는 뜻이다. 의정이 내적심리상태가 화두의심에만 집중되어져 있을 때를 가리키는 반면 의단은 몸과 마음이 하나의 의심으로 집중된 상태를 말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심, 분심, 의심이 간화삼요의 대신근, 대분지, 대의정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대신근, 대분지, 대의정은 그대로 간화공부의 차제이며, 서로 상생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유기적 관계 속에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대신근은 화두를 참구하게 하는 용심이고, 대분지는 대의정을 일으키게 하는 용심이며, 대의정은 의정이 끊어지지 않고 지속되는 상태로서 마침내 간화의 구경인 무심삼매의 경지에까지 이르게 하는 용심이라는 점에서 간화삼요는 참선의 요체가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Three Essentials of Kanhua Chan refer to the three attitudes (or, functional mind 用心) - great faith, great efforts and great doubt - which are essential in practicing Kanhua Chan. The first to advocate them was Chan Master Gaofeng Yuanmiao 高峰原妙 of the Yuan Dynasty in his Gaofeng yuanmiao chanshi chanyao(hereafter, Chanyao) 高峰和尙禪要. This paper examined this three essentials in detail based on『Chanyao』.


    The first of 'Three Essentials', the great faith is an attitude as a prerequisite to hwadu investigation, so it should be adamant as it is both a starting point of Buddhist practice and a foundation for enlightenment. The faith can be divided into four subcategories. They refer to the faith in: 1) the attainability of enlightenment, 2) Buddhahood, 3) hwadu investigation, 4) an authentic master. After all, the faith in Buddhahood gives rise to an aspiration for the Path, and the faith in hwadu investigation can lead one to a real hwadu doubt.


    Second, the great efforts are an attitude needed when practitioners reach the 'energy-saving stage' 省力處 but have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hwadu doubt. By this time, they should give rise to an even more greater effort to produce the great doubt. Like this, the great efforts are a very important attitude in that they produce an impetus to create the great doubt.


    The third is the great doubt. In regard to the concept of doubt, Chan Essential explains three types of the doubt - doubt 疑, doubt feeling 疑情, and doubt mass 疑團 - which are used separately. Here, the first is used as having a comprehensive meaning including even 'reciting hwadu' 誦話頭 and 'recollecting hwadu' 念話頭 which is usually done by the beginners. The second refers to the one-minded state of hwadu investigation. This great doubt is a continuation of the doubt feeling, but, as it is not easy to maintain this state, the attitude of the great efforts is required. Accordingly, the great doubt is characteristically the attitude arising after the great efforts. Thus, if the great doubt, which is a continuation of the doubt feeling, lasts, practitioners can go into the stage of thought-free concentration in which both hwadu and I become tranquil. The third and last doubt mass means a type of doubt that is clustered into a mass. Whereas the doubt feeling indicates a state of concentration only on hwadu doubt internally, the doubt mass refers to a stage of concentration in which both the body and mind become one with the doubt.


    The three essential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faith, the efforts, and the doubt; they are, however, different in their subtle meanings from those dealt with in this paper. The three essentials in themselves are the sequential stages of hwadu investigation while having an clos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producing synergy. Here, the great faith is an attitude that gives rise to hwadu investigation; the great efforts is that which produces the great doubt; and the great doubt is the state of continuing the doubt feeling without stopping and also an attitude allowing practitioners to reach thought-free concen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