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꾀쟁이 하인’ 설화의 동화화 양상과 문학교육적 함의 - 『조선동화대집』에 실린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 (An Aspects of Fairy Tale Making about ‘Tricky servant’ Story and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 Focusing on in Joseon Donghwa Daegip(A Great Anthology of Korean Fairy Tale) -)

6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0.12
65P 미리보기
‘꾀쟁이 하인’ 설화의 동화화 양상과 문학교육적 함의 - 『조선동화대집』에 실린 &lt;외쪽의 꾀&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교육학 / 69호 / 227 ~ 291페이지
    · 저자명 : 신원기

    초록

    본고에서는 ‘꾀쟁이 하인’ 설화의 동화화 양상과 의미, 문학교육적 함의(含意)를 고찰했다. ‘꾀쟁이 하인’ 이야기는 1926년 『조선동화대집』에 <외쪽의 꾀>라는 제목의 동화로 처음 출판된 이래, 현재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었다. 1940년대 <자글대 이야기>, 1950년대 <꾀쟁이 외쪽이>, 1970년대 <꾀많은 머슴>, 1980년대 <꾀돌이 외쪽이>, <꾀 많은 종>, <그 양반에 그 하인>, 1990년대 이후 <왕굴장굴대>, <꾀보 막동이>, <왕굴장굴대>, <빤짝빤짝 꾀돌이 막둥이> 등이 ‘꾀쟁이 하인’ 설화를 동화로 나타낸 작품이었다.
    이들 작품은 모두 다음의 구조를 공통적으로 지니면서, 부분적 변용이 드러나는 형태였다.
    Ⅰ. 주인이 하인을 학대하다.
    Ⅱ. 하인이 주인을 속이다.
    Ⅲ. 주인이 하인을 죽이려고 하다.
    Ⅳ. 하인이 죽을 위기를 벗어나다.
    Ⅴ. 하인이 주인을 죽이고, 주인의 딸과 결혼하다.
    ‘꾀쟁이 하인’을 동화화한 작품들은 이러한 구조를 지니면서, 후대로 올수록 ‘지략담의 고착화, 주인공의 선인화(善人化), 상호 수긍의 결말화’ 등이 강화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 이유는 작가와 시대 상황의 영향, 선명한 선악 대결의 제시, 행복한 결말을 위한 동화적 장치 등이었다.
    이러한 ‘지략담의 고착화, 주인공의 선인화(善人化), 상호 수긍의 결말화’라는 동화화 양상에서 나타난 특징이 문학교육에 함의하는 점은, ‘풍자’라는 미적범주를 교육내용ㆍ학습목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 윤리적ㆍ도덕적 가치에 대한 접근을 다양하게 시도할 수 있다는 것, 문학과 현실의 진실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는 것 등이었다. 이러한 문학교육적 함의는 궁극적으로 眞善美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 that an aspects of fairy tale making about ‘tricky servant’ story and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Tricky servant’ story has kept its existence since it was published as the title of <Oezzok’s tricks> from 『Joseon Donghwa Daegip』 in 1926. ‘Tricky servant’ story is presented as fairy tale in several works: <Jageuldae story> in 1940’s; <Tricky Oezzok> in 1950’s; <Tricky farmhand> in 1970’s; <Tricky Oezzok> in 1980’s; <WangoolJanggooldae>, <twinkle twinkle tricky the youngest> after 1990’s.
    These works have following structures in common with style showing partial transformation.
    Ⅰ. A master abuses a servant.
    Ⅱ. A servant deceives a master.
    Ⅲ. A master wants to kill a servant.
    Ⅳ. A servant passes the crisis of death.
    Ⅴ. A servant kills a master, and get married to master’s daughter.
    Works that transformed ‘tricky servant’ into fairy tale have thes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intensifying fixedness of cleverness story, good man making of protagonists, ending of mutual affirmation and so on over time.
    In this sense, there are literary educational implications like setup of aesthetic category, approach of moral value and approach of truth literature, reality and, etc. It means seeking to value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ultimate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교육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