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필논쟁(猥筆論爭) - 영남 우도 율곡학파의 대응을 중심으로 (The Eopil-Debate(猥筆論爭): Focusing on the Response of the Yulgok-School in Yeongnam-Udo)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외필논쟁(猥筆論爭) - 영남 우도 율곡학파의 대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54권 / 67 ~ 95페이지
    · 저자명 : 이향준

    초록

    이 글은 기정진(奇正鎭)의 「외필(猥筆)」을 둘러싼 성리논쟁, 즉 외필논쟁(猥筆論爭)에 나타난 영남 유학자들의 입장을 영남 우도에 주로 분포한 율곡학계 성리학자들을 중심으로 개괄한다. 「외필」에 대한 비판적 분석, 지역적 경계를 넘어 논쟁의 확장을 위한 노력, 성리학 내부의 갈등을 화해하려는 시도를 살펴본다. 권봉희(權鳳熙), 권명희(權命熙), 이도복(李道復), 한유(韓愉)와 하우식(河祐植) 등 주요 인물을 조명하며 논란 속에서 이들의 역할과 활동을 살펴본다. 이 글의 분석은 세 가지 주요 측면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첫째 논쟁의 조정자로서 이도복의 역할과 입장, 둘째 「외필」의 분석적 독해와 비판적 담론의 공동생산자로서 한유와 하우식, 논쟁의 범위를 영남 우도 율곡학계를 넘어 연재학파와 간재학파로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노사학파에 적대적인 집단행동으로까지 나아가려고 했던 권명희와 권봉희 등의 연속적인 연속성과 단절을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미완에 그치기는 했지만 권봉희와 권명희가 이 논쟁을 전국적인 문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소문을 작성해서 노사학파에 대한 학술-정치적인 공격을 가하려는 기획이 존재했다는 사실도 밝혀질 것이다. 이상의 논의 과정을 통해 마지막으로 한 가지 공통점이 부각될 것이다. 그것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외필」에 대한 비판은 결국 이이(李珥)의 철학적 사유로 회귀하려는 근본주의적인 공통점을 부각시킨다. 둘째 이 공통점은 또한 송시열(宋時烈)에서 출발해서 송환기(宋煥箕)를 거쳐 송병선(宋秉璿)에 이르는 서인 계열 성리학의 폭넓은 영향력 아래에서 형성된 것이다. 「외필」이 19세기 변화하는 조선의 역사적 현실에 대응하려는 성리학 담론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것은 이들의 비판 이후에 뒤따르는 외필논쟁의 비생산적 성격을 드러내는 징표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의 문제를 16세기의 성리학적 기준에서 파악하려는 이론적 구도 자체가 「외필」의 내용을 19세기의 현실이 아닌 16세기의 이이와 비교하라고 요청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sitions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in the Neo-Confucian controversy surrounding Ki Jeong-jin's 「Eopil(猥筆)」, that is, the Eopil-Debate(猥筆論爭), focusing on Neo-Confucian scholars from the Yulgok academic community mainly distributed in Yeongnam-Udo(嶺南右道). This is an overview. We examine critical analysis of 「Eopil」, efforts to expand the debate beyond regional boundaries, and attempts to reconcile conflicts within Neo-Confucianism. It highlights key figures such as Kwon Bong-hee(權鳳熙), Kwon Myeong-hee(權命熙), Lee Do-bok(李道復), Han Yu(韓愉), and Ha Woo-sik(河祐植), and examines their roles and activities amidst the controversy. The analysis in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ree main aspects. First, the role and position of Lee Do-bok as a mediator of the controversy, and second, as co-producers of the analytical reading and critical discourse of 「Eopil」, Han Yu and Ha Woo-sik, not only expanded the scope of the debate beyond Yeongnam-Udo and Yulgok academic circles to the Yeonjae and Ganjae schools. Rather, you will be able to witness the continuous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of Kwon Myeong-hee and Kwon Bong-hee, who tried to take collective action hostile to the labor-management school. Third, although it was incomplete, it will also be revealed that there was a plan by Kwon Bong-hee and Kwon Myeong-hee to launch an academic-political attack on the labor-management school by writing an appeal to turn this controversy into a national issu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process, one final commonality will be highlighted. It can be summarized in two things. First, the criticism of 「Eopil」 ultimately highlights the fundamentalist commonality of returning to Lee Yi(李珥)'s philosophical thinking. Second, this commonality was also formed under the wide influence of Seoin-line Neo-Confucianism, starting from Song Si-yeol(宋時烈), through Song Hwan-gi(宋煥箕), and ending with Song Byeong-seon(宋秉璿). In light of the fact that 「Eopil」 is a Neo-Confucian discourse that attempts to respond to the changing historical reality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this can be said to be a sign that reveals the unproductive nature of the Eopil debate that followed their criticism. This is because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trying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19th century from the Neo-Confucian standards of the 16th century asks that the contents of 「Eopil」 be compared with the 16th century's Lee Yi, not the 19th century's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