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The Masculine Outer Kumgang and theFeminine Inner Kumgang: the Gender Symbolism of Mt. Kumgang in Modern Period)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2.06
26P 미리보기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18호 / 143 ~ 168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본 연구는 금강산을 ‘외금강=남성, 남성적, 남성미’, ‘내금강=여성, 여성적, 여성미’로 인식하는 경향성에 주목하여 이러한 이분법적 시각의 형성과정을 추적하고, 상대적으로 외금강에 부여된 우월한 위상이 근대기 이후의 시각문화와도 긴밀하게 연동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젠더(Gender)는 금강산의 경관을 채택하고 경험하는 렌즈로 작용하여, 근대적이고 장대한 암석미의 외금강, 과거와 전설이 머물러 있고 얌전한 계곡미를 갖춘 내금강이라는 차별적인 표상을 구축하는 도구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금강산에 사회적인 성별, 즉 젠더의 개념이 도입되는 시점은 총독부의 주관 아래 외금강 중심의 금강산 관광을 도모한 1910년대 중반 이후로 판단된다. 암석과 나무의 많고 적음, 바위의 빛깔과 모양은 외산과 내산을 비교하는 지표가 되었으며, 일제강점기 금강산 개발의 진행과정에서 젠더의 보편적 인식에 부합하는 경관들의 특징은 더욱 부각되었다. 이에 외금강은 산악미가 빼어나고, 내금강은 계곡미가 아름답다는 심미적 기준이 등장하고, 외금강의 산악미를 대변하는 만물상, 내금강의 계곡미를 드러내는 만폭동이 대표 경관으로 부상한다.
    금강산 권역을 차별적으로 인식하면서 시각문화와 교차하는 지점 역시 포착되는데, 사진엽서, 사진첩, 안내서와 같은 시각물은 물론 회화 작품에서도 외금강 이미지는 우선적으로 선별된다. 근대기 금강산 여행안내서는 외금강을 먼저 방문하고 내금강으로 향하는 반전된 여정을 順路로 제안하기도 했다. 따라서 각 폭 구성의 금강산도 병풍에서는 금강산 명소 구성의 오랜 전통과 근대인들에게 익숙한 금강산 여행의 새로운 면모들이 대립하는 양상이 발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takes note of the tendency to recognize the areas of Outer Kumgang and the Inner Kumgang of Mt. Kumgang as “Outer Kumgang = Man, Masculine, Masculinity” and “Inner Kumgang = Woman, Feminine, Femininity” to track the formation of such dichotomous viewpoint and comments on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relatively superior status imbued on the Outer Kumgang and the visual culture after the modern period. At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in Korea, gender functioned as the lens which selected and constructed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Mt. Kumgang, utilized as a tool which constructed a differential symbolism of Outer Kumgang with its modern and grand rocks and Inner Kumgang where the past and myth resides in calm valleys.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concept of social sex, or gender, begins to be applied on Mt. Kumgang is considered to be post mid-1910s, wh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 had begun planning the vitalization of tourism to Mt. Kumgang, centered around the Outer Kumgang. The numbers of rocks and trees, the colors and shapes of the rocks served as indices for comparing the outer and the inner mountain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Mt. Kumgang as a tourist attraction, the characteristics which corresponded to gender is generally recognized were emphasized. Thus aesthetic standards, which described Outer Kumgang as having outstanding mountainous beauty and Inner Kumgang as having alluring beauty in the valleys, began to appear; Manmulsang, which is an exemplary mountainous beauty of the Outer Kumgang, and Manpokdong, showing the beautiful valley of Inner Kumgang, rose as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n intersection between differential recognition of the areas of Mt. Kumgang and visual culture can also be observed; in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 postcards, photo album, guidebooks, and even paintings, the images of Outer Kumgang were selected preferentially. The travel guide for Mt. Kumgang, published under the influences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e railway bureau, had suggested a reversed route of visiting the Outer Kumgang prior to Inner Kumgang as the regular route. This results in a tense conflict between old traditions in forming attractions of Mt. Kumgang and the new aspects of touring Mt. Kumgang familiar to modern audience, found in the folding screens of Mt. Kumgang depicting the attractions in each of the scree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