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규장각 어람용 의궤의 형태적 특징에 관한 기초적 연구 (Foundational Research o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King’s Copies of Oegyujanggak Uigwe)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3.09
47P 미리보기
외규장각 어람용 의궤의 형태적 특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6호 / 5 ~ 51페이지
    · 저자명 : 유새롬

    초록

    이 논문은 어람용 의궤의 종합적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먼저 어람용 의궤의 연원을 검토하고, 이어서 어람용과 분상용이 함께 있는 『莊烈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1689), 『孝章世子冊禮都監儀軌』(1725), 『孝純賢嬪墓所都監儀軌』(1752) 등 17세기 후반~18세기 중반의 외규장각 의궤 3종을 중심으로 어람용 의궤의 편집 체재, 제작 방법과 재료 등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의궤는 조선 초부터 복본을 제작하여 중앙 관청과 지방 사고에 나누어 보관했으며 이러한 전통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다. 기존 연구에서는 어람용 의궤의 연원을 병자호란 이후로 보는 견해가 있었으나, 외규장각 의궤와 『강화부외규장각형지안』 등의 문헌 기록을 통해 이미 광해군 대에 어람용 의궤가 편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태종 대 어람용 홀기의 표지를 紅綾으로 제작한 사례, 중종 대 天使 영접 관련 의궤를 大內로 들이라고 한 사례 등을 통해 어람용 의궤가 조선 전기부터 편찬되었을 가능성을 밝혔다.
    어람용 의궤의 특징 중 편집 체재는 어람용과 분상용의 분량 및 책수의 차이에 주목하였다. 어람용 의궤가 분상용 의궤와 분량이 차이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御覽’이라는 형식에 맞도록 분상용과 구별되는 ‘擡頭法’과 같은 편집 원칙을 적용했기 때문이었다. 또, 의궤의 종류에 따라 어람용과 분상용이 분책되는 시기와 책 수가 다른 점도 확인하였다. 특히 『장렬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와 『효장세자책례도감의궤』의 어람용은 2책, 분상용은 1책으로 서로 그 책 수가 다른데, 이는 해당 의궤의 분량이 급증한 것과 관련이 있다. 전자는 예송 논쟁과 관련하여 服制, 후자는 왕위 계승의 정통성과 관련한 세자 책봉 문제가 논란이 되었던 시기와 일치한다는 점에서 해당 의례 절차와 준비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기록이 필요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당시 정국의 동향과 연관 지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궤의 제작 방법과 재료는 「의궤사목」의 문헌 기록과 외규장각 의궤의 실사 결과를 함께 검토하여 기존 연구를 보완하였다. 종이와 표지, 변철 등은 어람용과 분상용의 차이가 날 뿐만 아니라 시기별로 그 특징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특히 『효순현빈묘소도감의궤』는 18세기 중반 어람용 의궤의 표지 직물이 紋緞에서 紬로 변천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료로서 영조의 문단 금지 조치와 喪禮 정비 과정에서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의궤는 의궤에 기록된 내용뿐만 아니라 의궤의 제작 과정, 혹은 제작 상 나타나는 의궤의 물리적 특징 등이 연구 대상으로서 가치가 있다. 특히 어람용 의궤는 왕의 열람을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왕조국가’로서의 조선의 문화적 특징을 파악하는 단초로서 연구 가치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king’s copies of Uigwe, this paper first uses historical records to consider the origin of king’s copies. Then, the editing principles, production method, and materials of king’s copies are investigated through a firsthand examination of the following three Oegyujanggak Uigwe titles, produced from the late 17th to mid-18th century: Jangnyeol Wanghu Binjeon- Honjeon Dogam Uigwe (Royal Protocols on the Rites of Enshrining the Coffin and Ancestral Tablet of Dowager Queen Jangnyeol, 1689); Hyojang Seja Chaengnye Dogam Uigwe (Royal Protocols on the Rite of the Investiture of Crown Prince Hyojang, 1725); and Hyosun Hyeonbin Myoso Dogam Uigwe (Royal Protocols on the Rites Related to the Tomb of Dowager Princess Hyosun, 1751).
    Beginni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ultiple copies of each Uigwe were produced and stored in government facilities in the capital and state archives in the provinces (respectively). This tradition last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Previous studies have theorized that king’s copies were first produced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in 1636, but the Oegyujanggak Uigwe and other documents, such as Ganghwa-bu Oegyujanggak Hyeongjian (Inventory of Collection at Oegyujanggak in Ganghwa-bu), prove that king’s copies were produced at least as early as the reign of Prince Gwanghaegun (r. 1608-1623). Other evidence suggests that the tradition of king’s copies may even have begu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r example,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r. 1400-1418), king’s copies of holgi (document listing the proper order of a rite) were made with red silk covers, and King Jungjong (r. 1506-1544) is known to have produced Uigwe on the rite of receiving imperial envoys from Ming, with one copy to be kept inside the royal palace.
    Present research revealed that king’s copies of Uigwe had more pages and more volumes than general copies. The added length can be attributed to some special editing principles, including daedubeop (擡頭法), wherein lines that refer to the king, queen, or other high-ranking royal family members were vertically elevated above other lines, in order to convey the utmost respect. In the later period, as the table of contents and the content itself increased, Uigwe tended to be bound as separate fascicles.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for certain types of Uigwe, this practice began earlier for king’s copies than for general copies, indicating that the king’s copies had more volumes. Furthermore, these changes in the binding procedure emerged at different times, depending on the topic of the Uigwe. For example, Jangnyeol Wanghu Binjeon Honjeon Dogam Uigwe and Hyojang Seja Chaengnye Dogam Uigwe considerably increased in length, such that the king’s copies of these titles were expanded to two volumes, while the general copies still had only one volume. The former title was produced after debates called yesong nonjaeng about the period of wearing mourning clothes for a deceased family member. The latter title was produced when Crown Prince Hyojang was installed amidst fierce controversy over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f King Yeongjo. In these cases, there was likely demand for more detailed records of the rites in question, and these examples should be examined in relation to their political context.
    Existing research has presented the production method of Uigwe, including the type of material used. This paper complements those previous studies by analyzing the records of “Uigwe Samok” (Regulations of Uigwe Production) and examining the actual Oegyujanggak Uigwe. It was found that king’s copies differed from general copies in terms of the type of paper, the cover, and the byeoncheol (brass strips along the sides of the front and back covers). Moreover, for king’s copies, these elements developed and changed over time. In particular, the king’s copies of Hyosun Hyeonbin Myoso Dogam Uigwe exemplify the transition in the type of textiles used to make the cover, from mundan (紋緞, premium silk with patterns) to ju (紬, ordinary silk). This change reflects King Yeongjo’s ban on the use of mundan and the reformation of funeral rites.
    Hence, in addition to the content, the production proced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igwe require further research. In particular, king’s copies, which were produced exclusively for the king, are invaluable research subjects for illumina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