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외가(街外街)’와 ‘인외인(人外人)’ -이상(李箱)의 「가외가전(街外街傳)」(1936)에 나타난 일제 강점기 도시화 정책의 이면- (‘Ga-oe-ga(streets outside streets)’ and‘In-oe-in(human beings outside human beings)’ -The Other Side of the Urbanization Policy under theJapanese Colonial Rule in Lee Sang’s Poem the Story of Ga-oe-g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5.08
29P 미리보기
‘가외가(街外街)’와 ‘인외인(人外人)’ -이상(李箱)의 「가외가전(街外街傳)」(1936)에 나타난 일제 강점기 도시화 정책의 이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0호 / 39 ~ 67페이지
    · 저자명 : 신형철

    초록

    이상의 악명 높은 시 「가외가전(街外街傳)」은 그 난해함 때문에 오랫동안 연구에서 방치돼 왔다. 이 점에 주목하는 일은 단지 「가외가전」이라는 한 작품에 대한 주의 환기이기를 넘어서 이상 연구의 어떤 편향에 문제를 제기하는 일이기도 하다. 이상의 시가 현실 재현적 요소 혹은 현실 비판적 요소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놓친 채, 단지 결핵 병력(病歷)과 기행(奇行)의 반영이라는 측면 혹은 모더니즘적 기법의 실험이라는 측면에서만 바라볼 경우, 「가외가전」과 같은 시는 분류하기 어려운 애매한 작품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가외가전」이 식민권력의 통치 테크놀로지의 작동과 그 결과를 비판적으로 재현하고 있음을 밝히려 한 작업이다. 기존 연구에서 이상의 매매춘 체험을 기록한 시로, 혹은 병든 신체 기관을 해부하듯 들여다보는 시 등으로 읽힌 이 시는 식민지 도시화 정책의 결과로 배제된 공간(‘가외가’)들의 이야기(‘전’)를 들려주는 작품으로 다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육교, 골목, 우물, 토막(土幕) 등을 순차적으로 관찰하는 이상의 시선은 그곳의 실상을 은밀하게 재현하면서 또 그곳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의 삶의 풍경 역시 냉정하게 관찰한다. 그를 통해 ‘가외가’(길 밖의 길)에 거주하는 ‘인외인’(인간 밖의 인간)의 형상이 드러난다. 여기에 주목함으로써 이 시는 식민 권력의 ‘공간 정치’와 ‘주체 분할’의 메커니즘을 예리하게 사유한 시로 재배치될 수 있다. 「가외가전」은 이상의 모더니스트적인 ‘기법’ 때문에 흔히 간과되었던 리얼리스트적인 ‘태도’에 대해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웅변하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The perspective seems still strange from which one reads Lee Sang’s works as representing and criticizing the conditions of the 1930s. This paper tries to explicate the fact that the difficulty of Lee’s notorious poem, the Story of Ga-oe-ga contains the revelation of and resistance against the ruling technology of the colonial power. Construed by the existing studies as a poem that records experiences of prostituion or that anatomically looks into body parts, this poem should be read as a work that tells us the story of a space excluded as a result of the colonial policy of urbanization (Ga-oe-ga). Lee Sang’s sight, which observes an overpass, alleys, a well, and mud huts in turn, secretly represents the reality of the places, and dispassionately observes the landscape of the life of the Koreans who live there. We can ultimately complete the hidden meaning of this poem by naming the figures of those who live in ‘Ga-oe-ga (streets outside streets)’ ‘In-oe-in (human beings outside human beings),’ and once more emphasize that we need to pay fair attention to Lee Sang’s realist ‘attitude’ (which has been looked over due to his modernist ‘techniq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