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 관리체계 개선방안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ff-Label Drug Use Management System)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03
15P 미리보기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 관리체계 개선방안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생명윤리정책연구 / 16권 / 2호 / 73 ~ 87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혜

    초록

    규제당국으로부터 의약품에 대한 적응증, 연령, 용량, 투여경로 등에 대한 허가를 받았으나그 중 어느 하나라도 허가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의약품의 허가 외사용 또는 오프라벨 사용(off-label use)이라고 일컫는다. 이러한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은 적응증 및 용량 결정에 대한 임상시험이 어려운 소아, 노인, 암환자 등 취약한 상황의 환자들에게 종종 이용되고 있다. 의약품의 적절한 허가 외 사용은 환자의 치료받을 권리의 확대를 가져오고,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허가 외 사용 의약품의 현황 파악과 더불어 의약품 사용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은 요양급여 대상과 비급여대상, 일반 약제와 항암제에 대한 사용 절차가 각각 다르게 되어 있어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에 대해 일관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의약품 허가 외 사용의 개념과 특성, 현재 국내 관리체계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한 뒤, 의약품의 허가 외 사용에 대한 종합적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침 마련과 함께 전문가집단의의사결정 절차 마련, 환자의 실질적인 자기결정권 보호 절차 마련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고자한다.

    영어초록

    When a drug has been approved by the regulatory authorities for indications, ages, doses, and routes of administration, but any of them is used for purposes not listed in the permit, it is referred to as off-label drug use. The off-label drug use is often used for patients in vulnerable situations, such as children, the elderly, and cance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clinical trials for indication and dose determination.
    Appropriate off-label drug use can lead to the expansion of patients’ right to treatment, and systematic monitoring can help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drugs used outside the license and ensure the stability of drug use. However, criticism cannot be avoided that there is no consistent and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for off-label drug use in Korea because the procedures for off-label drug use of benefits and non-benefit drugs, general drugs and anticancer drugs are different.
    Therefore, after review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ff-label drug use,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domestic management system, I would like to argue the necessity of preparing decision-making procedures for expert groups and protecting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