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의 ‘淨神王’・‘淨神太子’에 대한 재해석 - 『삼국유사』 권3, 탑상4 「대산 오만 진신」과 「명주 오대산 보질도 태자 전기」를 중심으로 - (On the Interpretation of ‘King Jeongshin’ and ‘Jeongshin Crown Prince’ in Samkukyusa)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15.04
48P 미리보기
『삼국유사』의 ‘淨神王’・‘淨神太子’에 대한 재해석 - 『삼국유사』 권3, 탑상4 「대산 오만 진신」과 「명주 오대산 보질도 태자 전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19호 / 319 ~ 366페이지
    · 저자명 : 서정목

    초록

    『삼국유사』의 「대산 오만 진신」 조와 「명주 오대산 寶叱徒 태자 전기」 조에는 ‘淨神’을 포함한 명사구가 6번 나온다. 그런데 신라에는 ‘정신왕’이 없다. 이 명사구가 어떤 인물을 가리키는지가 불분명하다. 지금까지의 모든 연구와 번역서에서 이 ‘정신’을 포함한 명사구들은 다양하게 해석되었고, 나타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인물을 가리키는 것으로도 해석되었다. 이는 중요 문장들에서 중요 글자들이 缺落되거나 오류가 난 결과 문장들이 불완전하게 적혀 있어 내용을 제대로 독해할 수 없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정신’은 「오만 진신」 조의 세주에서 말하듯이 ‘신문’을 가리킨다. 이 글은 ‘정신’은 면밀하게 검토하면 어떤 위치에서나 ‘신문’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논증한 것이다.
    「오만 진신」의 두 왕자 입산 기록의 ‘신라 淨神大王의 태자 보천, 효명 두 형제가 하서부에 이르러’의 ‘정신대왕’은 ‘신문왕’이다. 이는 「태자 전기」의 ‘신라 정신의 태자 보ㅅ도가 아우 효명태자와 더불어 하서부에 이르러’를 재구성한 것이다. 이 ‘정신의 태자’는 ‘寶叱徒’와 동격이다. 그러므로 ‘보천태자’와 ‘효명태자’의 아버지인 신문왕이 ‘정신대왕’, ‘정신’으로 표현된 것이다. 「오만 진신」의 성덕왕 즉위 기록의 ‘淨神王의 아우가 왕과 왕위를 다투었다. 국인들이 폐하고’의 ‘淨神王’은 ‘淨神太子’로 써야 할 것을 ‘정신왕’으로 잘못 쓴 것이거나 ‘정신왕태자’에서 ‘태자’가 결락된 것이다. 이는 「태자 전기」의 ‘정신의 태자가 아우인 부군(과) 신라[서라벌]에서 왕위를 다투다가 주멸했다.’를 재구성한 것이다. 여기서의 ‘정신의 태자’는 ‘효소왕’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이 두 문장은 ‘효소왕의 아우가 (효소)왕과 왕위를 다투었다. 국인들이 (효소왕의 아우인 부군을) 폐하고’로 해석된다. 이 사건은 700년의 ‘경영의 모반’을 가리키는 것이다. 「오만 진신」의 세주의 ‘신라에는 정신, 보천, 효명 3부자에 대한 명백한 글이 없다.’의 ‘정신’은 ‘신문왕’을 가리킨다. 나머지 하나의 ‘정신’은, 이 말이 아마도 ‘정명’{이나, 과} ‘신문’의 訛일 것이라는 데서 關語的 言語(meta language)로 사용된 것이다.
    「태자 전기」에 2번 나오는 ‘정신태자’는 위에서 본 대로 모두 ‘정신의 태자’라는 뜻이다. 여기서의 ‘정신’은 ‘신문’인 것이다. ‘정신의 태자’는 한 번은 ‘보천태자’, 다른 한 번은 ‘효소왕’을 가리키는 말이다.
    「민지 기」의 ‘寶叱徒淨神太子兒名也’는 ‘보ㅅ도는 정신의 태자의 아명이다.’로 번역된다. ‘정신태자’는 어느 경우나 ‘정신의 태자’로 읽어야 한다. ‘정신태자’는 실재하지 않았다. ‘정신은 울면서 머무르기를 청하였다[淨神泣請而留].’의 ‘정신’은 ‘정신의 태자[보천태자]’를 의미하는 ‘정신태자’에서 ‘태자’가 결락된 것이다.

    영어초록

    In ‘Daesan Oman Jinshin’ and ‘Myeongju Odaesan Botto Thaeja Jeonki’ of Samkukyusa, there appear six cases of ‘Jeongshin’. However, we cannot find ‘King Jeongshin’ in the history of Shilla. These ‘Jeongshins’ have been interpreted as referring to more than three persons mainly due to miswriting and misreading. This paper insists that all the ‘Jeongshins’ should be interpreted as only one person, ‘King Shinmoon’.
    As is usually known, ‘the Great King Jeongshin’ in the phrase ‘The Great King Jeongshin’s Crown Prince Bocheon, Hyomyeong, two brothers’ in ‘Daesan Oman Jinshin’ of Samkukyusa justly refers to King Shinmoon. However, ‘King Jeongshin’ in the phrase ‘King Jeongshin’s younger brother has a quarrel with King over the crown’ in ‘Oman Jinshin’ is a miswriting of ‘Jeongshin’s Crown Prince’s younger brother.’ For King Jeongshin had died ten years before 702 A.D. The phrase ‘Crown Prince’ must have been changed with the word ‘King’ by mistake. The phrase, therefore, should be read ‘King Jeongshin’s Crown Prince’s younger brother has a quarrel with King over the crown.’ ‘Jeongshin Crown Prince’ in the phrase ‘Jeongshin Crown Prince Botto with Hyomyeong Crown Prince’ in ‘Thaeja Jeonki’ of Samkukyusa should also be read as ‘Jeongshin’s Crown Prince’. Because Crown Prince must be an appositive of not ‘Jeongshin’ but ‘Botto’. So ‘Jeongshin’ is no one else but King Shinmoon, and his Crown Prince is naturally ‘Botto’. Just alike, ‘Jeongshin Crown Prince younger brother Vice King died having a quarrel over the crown in Shilla’ in ‘Thaeja Jeonki’ must be read as ‘Jeongshin’s Crown Prince died having a quarrel with his younger brother and Vice King over the crown in Shilla.’ ‘Crown Prince’ after ‘Jeongshin’ refers to Jeongshi’s first son, King Hyoso, who died in a quarrel over the crown in Shilla. There must be a ‘與[with]’ between 太子[Crown Prince] and 弟[younger brother].
    And all the other ‘Jeongshins’ in various contexts such as ‘Minji Ki’ and footnotes of ‘Oman Jinsin’ can also be read as referring to King Shinmo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