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생전(許生傳)」과 『요재지이』(聊齋志异) 소재 「왕성(王成)」 비교 연구 (Park Ji-won,Tale of Hŏ Saeng, Wang Cheng, Liaozhai, fantasy, realis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4.12
37P 미리보기
「허생전(許生傳)」과 『요재지이』(聊齋志异) 소재 「왕성(王成)」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97호 / 235 ~ 271페이지
    · 저자명 : 정솔미

    초록

    본 연구는 연암 박지원(燕巖 朴趾源, 1737~1805)의 「허생전」(許生傳)을 중국 명말청초(明末 淸初) 작가 포송령(蒲松齢, 1640~1715)의 『요재지이』(聊齋志異) 소재 「왕성」(王成)과 비교함으로써 양 작품의 서사적⋅미적 특질을 동아시아 소설사의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양 작품이 공히 ‘한사(寒士)의 상업 행위와 그 후’를 기이(奇異)한 인물을 통해 그려내면서도 각이한 서사 지향과 미감을 자아내는 데 착안해서다.
    인물 형상화와 사건 구성 방식을 통해 보건대 양 작품은 주인공을 전혀 상반된 성격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각각 ‘실패’와 ‘성공’이라는 대조적인 경험을 그리는 서사임을 확인하였다. 「왕성」이 나약한 인간이 좌충우돌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의 굴곡과 극적인 반전을 담아내어 서사적 역동성 면에서 높은 성취를 이룬 데 비해, 「허생전」은 관념화된 주인공의 일관된 형상을 그리고 있어 서사적 박진감에 한계를 지닌다. 단, 「허생전」은 소외된 비판적 지식인이라는 ‘인물의 전형성 창조’에 있어서는 높은 성취를 이루었다.
    현실비판과 우의(寓意)를 통해 보건대 두 작품은 명청 교체(明淸交替) 이후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내는 점에 있어서는 궤를 같이 한다. 단, 「왕성」에서 우의가 다분히 은미하고 추상적인 방식으로 처리된 데 비해, 「허생전」은 비판의 메시지를 좀 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으로 끌어올려 당대 조선이 당면한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현실성과 기이성의 교직을 통해 보건대 「왕성」은 호선(胡仙)이라는 초월적 존재를 등장시킴으로써 일견 ‘초현실적’ 성격을 띠고 있음에도, 여전히 삶의 현실적 문제들을 사실적으로 묘출하는 데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이 작품은 기이성과 현실성이 긴장을 이루고 있는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달리 「허생전」 속 기이는 현실 세계 안에서 구현되는 것이고 또 현실의 문제를 비판하는 장치로 기능하고 있기도 하여 언뜻 이 작품에서는 현실성이 우세한 듯 보인다. 그러나 기실 서사의 초점이 허생이라는 초인적 인물이 벌이는 기이한 사건에 향해 있고, 또 허생의 연이은 ‘성공’이 실제 현실과 다소 유리(遊離)된 문학사적 맥락에 기대고 있는바, 이 작품에는 기이성이 우세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그간 「허생전」의 현실비판적 성격을 그 사실주의적 성취와 곧장 결부지어 논하는 시각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계기가 마련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and aesthetic qualities of Park Jiwon's (朴趾源, 1737-1805)’s “Tale of Hŏ Saeng” in comparison with Pu Songling(蒲松齡, 1640-1715)’s “Wang Cheng” within the context of East Asian literary history, focusing on their portrayals of fallen aristocrats engaging in commerce.
    “Tale of Hŏ Saeng” has been found to feature a character with consistency and ideological traits, resulting in reduced narrative dynamism when compared to “Wang Cheng”. Nevertheless, it creates a prototypical character of a critical intellectual and tends to critique the realities of its time more concretely as an allegory than Wang Cheng.
    In terms of aesthetic comparison between the two works, “Wang Cheng” develops its narrative in a way that, while seemingly fantastical, remains closely tied to reality, creating a tension between the strange and the realistic. In contrast, the “Tale of Hŏ Saeng”, while maintaining a stronger level of social critique, focuses on the extraordinary character of Hŏ Saeng, resulting in a narrative dominated by the uncanny.
    This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that directly links the “Tale of Hŏ Saeng”’s critique of reality with realist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