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도 용장성 왕궁지 R지구 一括出土錢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R district of Jindo-Yongjang castle hoar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0.03
30P 미리보기
진도 용장성 왕궁지 R지구 一括出土錢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37호 / 67 ~ 96페이지
    · 저자명 : 이승일

    초록

    고려시대 진도 용장성 왕궁지유적에서 116매의 중국동전이 1개의 꿰미상태로 출토되었다. 이를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용장성 일괄출토전의 분석에서 최신전이 1193년이며, 장기간에 걸쳐서 저축된 동전들이 아니고 남송에서 유통되던 동전들이 한 번에 引揚된 것임을 밝혔다. 게다가 100매단위의 꿰미인데 이는 당시 中日의 시장 등에서 동전을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묶음방식과동일하다.
    둘째, 출토상황의 분석에서는 용장성 일괄출토전이 공반유물과 층위상태로부터 용장성의 함락 이후 단기간에 형성된 단일층이며, 시기는 14세기 이후로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판단하였다. 그리고 초석의 가장자리가 출토위치인데 초석 간의 고맥이 시설이 확인되지않았다. 따라서 마루 아래에 놓여졌을 것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셋째, 동전의 매장 목적을 밝히기 위해 제의용도, 수집용도, 퇴장용도로 나누어 국내외자료와 비교했다. 용장성 일괄출토전은 당시 126문의 가치가 매겨져 있는 화폐이면서 재화이다. 용장성의 함락에 의한 피난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전화의 주인이 임기응변으로 마루 밑에 隱匿한 퇴장유구의 일종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A string of 116 coins was excavated from Goryeo Dynasty’s Yongjang castle sit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excavation.
    First of all, in yongjang castle analysis, the latest excavated coins were from 1193. They were not saved through long period, the coins distributed in Nam-song were discovered at once.
    In addition, they are string of one hundred coins unit and it is identical to China and Japan’s method of coin usage and storage used in market.
    Secondly, In analysis of excavation situation, Yongjang castle hoard is single layer from horizontally accompanied relics and they were formed after short period of yongjang castle breakdown. The period is previous than 14th century.
    Additionary, edge of foundation stone is excavation site but “Komagi(고맥이)” facility between fondation stones is not verifie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y were located below floor.Thirdly, to find out the purpose of buried coin, comparsion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materials were made in usage of ritual, collection and hoarding.
    Yongjang castle hoard is both currency and goods which is well worth for those days 126mun.
    According to Yongjang castle collapse evacuation situation occurred, so owner of goods hid them under floor extemporaneously. They are considered as type of hoared go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