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자왕의 친위정변과 국정쇄신 (Pro-Wei Coup and Reforms in National Administration of King Euij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09.12
38P 미리보기
의자왕의 친위정변과 국정쇄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47호 / 55 ~ 92페이지
    · 저자명 : 문안식

    초록

    의자왕은 백제 30대 무왕의 장자로 태어난 인물인데, 무왕은 위덕왕과 익산 마룡지 부근에 거주하던 귀족세력의 딸을 부모로 하여 출생하였다. 무왕은 궁궐 밖에 거주하였기 때문에 부왕이 시해되는 정변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무왕은 익산에 머물면서 成家하여 의자 등을 낳았다.
    의자왕의 모친은 최근 익산 미륵사지 西塔의 心礎石에서 발견된 금제사리봉안기의 銘文에 보이는 沙宅積德의 따님이었던 沙氏王后와는 무관하였다. 무왕의 왕후로는 『三國遺事』에 보이는 선화공주, 사씨왕후 등이 존재하였다. 그 중에서 의자왕의 생모는 선화공주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녀는 신라 진평왕의 딸이 아니라 익산지역 귀족세력의 所生이었다.
    사씨왕후는 『日本書紀』 皇極紀에는 의자왕의 모후로 기록되어 있지만 생모가 아니라 계모이었다. 사씨왕후는 의자왕의 태자 시절 최대 정적이었던 豊章 및 翹岐의 生母 · 祖母였으며, 사택지적과 사택적덕 등 사비지역에 연고를 둔 강력한 외척세력의 지원을 받았다.
    의자왕은 40대 중반으로 추정되는 632년(무왕 33)에 이르러 태자에 책봉될 정도로 정적이 많았으며, 귀족세력과 근친 왕족들의 끊임없는 견제를 받았다. 무왕은 다양한 치적을 통해 왕권강화를 이루면서 ‘대왕폐하’를 칭하기도 하였지만, 익산 천도의 실패가 암시하듯이 귀족세력의 견제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의자 태자 역시 사씨왕후와 강력한 외척을 배경으로 둔 교기의 존재에 큰 위협을 받았다.
    의자는 태자 시절에 은인자중하며 자신을 낮추고 엎드리는 처신을 하였으며, 무왕이 재위 41년에 사망하자 즉위하였다. 의자왕은 정적 제거와 정국운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즉위 8개월 만에 친위정변을 단행하였다. 의자왕은 친위정변을 통해 귀족중심의 정치운영에 제동을 걸었으며, 신진세력을 육성하여 왕권강화의 버팀목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의자왕은 對唐關係의 안정을 통해 新王으로서의 국제적인 위상을 확보하였다. 의자왕은 민생안정과 지방통치 분야에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 백성을 위무하고 안정시켰다.
    의자왕은 국정 안정과 왕권강화를 이룬 후 唐과의 우호관계를 바탕으로 신라에 대하여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여 옛 가야지역의 대부분을 장악하는 쾌거를 올렸다. 또한 의자왕은 고구려와 관계개선을 도모하여 濟․麗和親을 이루었다. 백제는 6세기 중엽에 濟羅同盟의 붕괴된 이후 오랜 동안의 고립에서 탈피하여 동맹세력을 갖게 되었다.
    의자왕은 정국 운영의 주도권을 장악한 후 孝를 태자로 책봉하여 차기 왕위계승분쟁을 둘러싸고 전개될 분란의 소지를 차단하였다. 의자왕은 다방면에 걸친 일대 혁신을 도모하여 오랜 동안에 걸쳐 유지되던 귀족연립체제의 병폐를 일소하였으며, 對新羅戰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King Euija(義子王) was born before King Mu(武王) ascended to the throne. King Mu had a prince named Euija while he was staying in Iksan(益山)]. King Euija’s mother was a princess named Sunhwa(善花公主), who was a daughter of a noble family in Iksan. King Euija has no blood relationship with an empress of Sa Family(沙氏勢力), who was a daughter of Sataekjukduk(沙宅德積) as shown in the inscription of est-pagoda in the site of Mireuksaji, Iksan.
    Euija behaved himself in humble ways when he was a prince, and when King Mu died in the 41st year of his reign, he managed to take power. King Euija executed a pro-wei coup no more than 8 months to eliminate political opponents and grasp political power. He expelled political opponents using death of the empress whose family name is Sa. Those who were expelled by him defected to Japan.
    King Euija controlled aristocracy through the pro-Wei coup, and used new forces as a prop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And he secured international positions as a new king through stable relationship with Tang Dynasty. He paid much attention to stable living of the public and local governance.
    King Euija showed aggressive attitudes to Silla based on friendly relations with Dang Dynasty after he achieved national stability and strong royal power, and gained total control of most part of the old Gaya. He gained friendship with Goguryo by changing relationship with it. Baekje obtained partnership out of long-term isolation for a long time since alliance between Baekje and Shilla had collapsed in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n, King Euija proclaimed a prince named Hyo(孝) as a heir to the throne to prevent a disorder that might occur for a succession of the throne. He eliminated evil practices of the noble power system that had been maintained for such a long time by making reforms in various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