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城王代 정치상황과 苩加의 난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Dongseong(東城王) and the rebellion by Baekga(苩加))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3.09
40P 미리보기
東城王代 정치상황과 苩加의 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11호 / 263 ~ 302페이지
    · 저자명 : 장미애

    초록

    본고에서는 동성왕의 즉위 배경과 즉위 후 정국 운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동성왕 시해 사건과 苩加에 의한 반란의 의미에 대해 재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한성의함락 이후 웅진으로 천도를 단행한 문주왕은 倭에 체류 중이던 곤지를 불러들이는 한편 아들인 삼근을 태자로 책봉하며 정국을 시킴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이때 문주왕에 의해 內臣佐平에 임명된 곤지는 개로왕 대에 征虜將軍 左賢王에 책봉되었으며, 이후 왜에 파견되어 왜에 이주해 있던 백제인들을 통합하고 왜와의 관계를 우호적으로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인물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곤지의 귀국은 문주왕의 의지에 의한 것이었으며, 곤지는 내신좌평에 임명된 후 사망하기 전까지 다양한 정치 세력과 왕실 세력을 규합하는 책임자로서 활동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곤지의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규합된 세력들은 이후 동성왕이 즉위하는 과정에서 지지 기반이 되어주었을 것이다. 동성왕 전반기 對고구려전의 전개와 북방을 중심으로 한 관방의 정비 등은 이들 세력에의해 추진된 정책 방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성왕은 재위 11년 만에 天地제사를 지내고 南堂에서 연회를 베풀면서 정국 운영 방향의 一新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사비로의 전렵이나 耽羅에 대한 정벌을 내세운 무진주로의 幸行은 백제의 관심이 북방보다는 남방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고할 수 있다. 더욱이 사비로의 전렵은 사비로의 천도를 염두에 둔 행위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동성왕 후반기 정국 운영 방향의 변화는 정치 세력 구도에도 변화를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동성왕 전반기에 활동했던 정치 세력들의 위기의식을 불러왔으며, 그것이결국 동성왕 시해 시도로 이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동성왕 시해의 중심인물로 『삼국사기』에서는 苩加를 지목하고 있으나 동성왕 대 전체를 걸쳐 최측근으로써 활동했던 백가가 동성왕을 시해하고자 한 뚜렷한 목적이 찾아지지 않는다. 오히려 동성왕 시해 시도 이후 가림성에서 머물렀으며, 무령왕 즉위 후 반란을 일으켰으나 곧 항복하는 등의 백가의 행적은 그가 동성왕을 시해한 것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일본서기』에서는 ‘國人’에 의해 동성왕에 대한 시해 모의가 있었으며, 백가는 그들에의해 범인으로 지목된 것으로 보인다. 이때 ‘國人’은 동성왕 전반기 세력들로 볼 수 있다. 백가의 난이 일어난 후 ‘國人’ 세력은 백가의 항복에도 불구하고 그를 제거함으로써 추후 일어날 수 있는 시해 사건을 둘러싼 진실 공방에 대한 문제의 소지를 없애는 동시에 ‘국왕 시해자백가’를 처단했다는 명분을 통해 정권 교체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King Dongseong(東城王)’s enthronement and the changes in political management after his accession were examined. Based on this, I tried to review the meaning of the murder of King Dongseong(東城王) and the rebel lion by Baekga(苩加). King Munju(文周王), who moved the capital to Ungjin(熊津), tried to stabilize the political situation by bringing Gonji(昆支), who was staying in Wae(倭), back to Baekje and installing his son, Samgeun(三斤), as the crown prince. It is esti mated that Gonji(昆支), who was appointed to the Naesinjwapyeong(內臣佐平) by King Munju(文周王), acted as a person in charge of uniting various political and royal powers until his death. It is presumed that the forces gathered through Gonji’s activities became the foundation of support in the process of King Dongseong’s(東城王) subsequent enthronement. The development of the war against Goguryeo in the first half of King Dongseong(東城王)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defense to defend the north can be seen as the policy direction promoted by these forces.
    However, it seems that King Dongseong(東城王) attempt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olitical administration by holding a ancestral rite to heaven and earth and holding a banquet in Namdang(南堂) after 11 years of his reign. The hunting in the Sabi area or the march to the Mujinju area showed that Baekje’s interest was now heading to the south rather than the north. Moreover, hunting in Sabi was also an act with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in mind. It can be thought that such a change in the political direction in the latter half of King Dongseong(東城王)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This brought a sense of crisis among the political force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King Dongseong, and it seems that it eventually led to the attempt to assassinate King Dongseong.
    『Samguksagi(三國史記)』 points to Baekga(苩加) as the central figure in the assassination of King Dongseong(東城王), but there is no clear purpose for Baekga(苩加), who was King Dongseong’s closest aide, to assassinate King Dongseong(東城王). Rather, there was a conspiracy to assassinate King Dongseong(東城王) by ‘National People(國 人)’ recorded in 『Nihonshoki(日本書紀)』, and it seems that Baekga(苩加) was pointed out as the culprit by them. After Baekga(苩加)’s rebellion occurred, the ‘National People(國人)’ forces removed him despite Baekga(苩加)’s surrender, there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a dispute over the truth surrounding the murder case that could occur later. And I think it wa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regime change through the justification of punishing ‘Kingslayer Baekga(苩加)’.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