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만을 동반한 당질코르티코이드성 골다공증 환자의 체중감량과 칼시트리올 치료 효과 (Effect of Weight Reduction and Calcitriol Treatment for the obese patients with Glucocorticoid Induced Osteoporosi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08.12
7P 미리보기
비만을 동반한 당질코르티코이드성 골다공증 환자의 체중감량과 칼시트리올 치료 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비만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17권 / 4호 / 162 ~ 168페이지
    · 저자명 : 이창범

    초록

    목적: 무릎 관절통으로 체중 감량이 필요했던 비만한 당질코르티코이드성 골다공증 환자에서, 1년간의 체중감량 치료와 골흡수억제 칼시트리올 치료 후의 체중 변화와 골밀도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골관절염을 동반한 류마티스 관절염 중, 무릎 통증 감소를 위해 비만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초 체질량지수가 25 kg/m2 이상이었고, 첫 6개월 간 5% 이상의 체중감량을 이루어낸 환자를 수집하였다. 비만치료제로는 Orlistat 120mg이 하루 3회 처방되었으며, 최소 6개월 이상 복용하였다. 이렇게 비만치료를 진행한 환자들을, 당질코르티코이드를 복용한 53명(연령: 60.3 ±5.9)을 투약군으로, 투여하지 않은 50 명(연령: 59.3 ±3.0)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양군의 환자에게 일일 칼시트리올 0.25 ㎍ 와 1000 mg 의 칼슘 제제가 1년간 투약되었으며, 치료 전후 1년간격으로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치료 전후 체중 변화량은 대조군 5.2 kg(59.3에서 54.1 kg으로), 투약군 4.3 kg(61.3에서 57.0 kg으로)이었다(P > 0.05). 연령대별 골밀도 평균은 각 연령 군에서 당질코르티코이드를 복용한 투약군의 골밀도가 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었다(P > 0.05). 대조군에서 일년간의 치료 후 골밀도가 59세 이하와 60세 이상에서 모두 약간 증가된 것으로, 당질코르티코이드를 복용한 투약군의 골밀도가 59세 이하에서는 증가하고 60세 이상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 > 0.05). 일년간의 치료 후 골밀도가 내원시와 비교하여 3% 이상 감소된 환자의 연령대별 분포는 대조군과 투약군이 59세 이하에서는 각각 30%, 38% 였다(P > 0.05). 그러나 60세 이상에서는 각각 33%, 44% 로 대조군에 비해 당질코르티코이드를 복용한 투약군 환자들이 골밀도 감소를 보이는 비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p < 0.05).
    결론: 당질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한 환자 중 60세 이상의 연령에서 1년간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골밀도 감소 환자의 비율이 높게 관찰되어, 당질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할 때 특히 고령의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더욱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고, 부작용 방지를 위한 칼시트리올 치료가 고령에서 효과가 확실치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체중감량이 골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는지 알기 위해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s: To evaluate effect of calcitrtiol on the bone mineral density changes after weight reduction of obese patients with glucocorticoid induced osteoporosis.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the glucocorticoid group, which included 53 females (age: 60.3 ±5.9yr) who were taking glucocorticoid and were being followed up at our hospital for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included 50 females (age: 59.3 ±3.0 yr) who had the same diseases but were not on glucocorticoid. All of the patients from the glucocorticoid group were taking triamcinolone in dose greater than 2 mg/day for more than 6 months for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from both groups received obesity treatment for knee joint pain, and also calcitriol 0.25 g and calcium 1000 mg. The effects of those drugs were evaluated by annual QCT(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measurement of BMD(Bone mineral densit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l BM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glucocorticoid group (75.9 vs 70.1 ㎎/cm2, p > 0.05).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BMD was noted in either group since the initial treatment until after a year, even when analyzed in terms of different age groups. After one year of treatment, th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a decrease in BMD of over 3% in the age groups of less than 60 years for control group and glucocorticoid group were 30% and 38%, respectively (p > 0.05). However, among the age groups of 60 and above, 44% of the glucocorticoid group showed a decrease in BMD of greater than 3% compared to 33%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a significantly higher ratio of patients from the glucocorticoid group showed a decrease in BM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ge of 59 (p<0.05).
    Conclusion: The patient’s ag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ciding the use of glucocorticoid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The antiresorptive calcitriol did not protect against the harmful effects of glucocorticoid. Further studies involving larger study population are needed to elucidate whether weight loss has any negative effect on bone metabo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