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玉峰行蹟」의 문체적 성격 연구 (Study on the Literary Style Characteristics in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4.02
38P 미리보기
「李玉峰行蹟」의 문체적 성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7권 / 35 ~ 72페이지
    · 저자명 : 공민식

    초록

    「李玉峰行蹟』은 여성 한시 작가 이옥봉을 대상으로 한 행장체 산문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행장은 중세 규범을 충실히 이행한 여성을 선택하여 엄격하게 짜인 방식(가계-행적-졸-평)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내용 및 형식상 유사한 전개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李玉峰行蹟』의 경우 같은 행장체 산문임에도 일반적인 행장체 산문의 문체적 성격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다. 가령 옥봉과 조원이라는 두 인물의 만남과 이별이 플롯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세부적인 내용 전개에 있어 대화를 활용해 장면을 구체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서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옥봉과 사회 윤리 규범과의 갈등이 드러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결말로 이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李玉峰行蹟』의 서술 문법에 소설의 서사 문법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李玉峰行蹟』이 옥봉 사후 100여 년이 지난 시점에 지어졌다는 점, 작자인 조정만(1654-1739)이 생존했던 17세기 무렵에 사대부 남성 지식인에 의해 애정전기소설이 적극적으로 창작되고 향유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소설과의 연관성을 짐작케한다. 그렇다고 한다면 일반 행장체에서 보이지 않는 「李玉峰行蹟』의 독특한 서술 문법상의 특징을 전에서 출발한 소설 장르와 관련지어 살펴보는 것은 문체적 성격을 규정하는 데 있어 의미 있는 작업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내용적, 형식적, 표현적 측면에서 「李玉峰行蹟』의 특성을 분석한 후 이를 소설과 연관지어 문체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李玉峰行蹟』은 행장체 산문의 일반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그 세부적인 내용은 소설적 서사 문법을 활용해 인물이나 특이한 사건 자체에 초점을 맞추며 문학적 형상화(애정전기소설적 요소 반영)에 치중한 소설적 傳에 가깝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국 후손 조정만은 가문의 일원으로서 정형화된 여성의 모습이 아닌, 시대를 풍미했던 한 문학 예술인에 대한 입전의 목적 하에 소설적 서사 문법 및 특성을 반영하여 「李玉峰行蹟』을 기술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영어초록

    <Lee Ok-bong's Haengjeog> is a Haengjang style prose about Lee Ok-bong, a female Chinese poetry writer. In general, female Haengjang select women who faithfully followed medieval norms and record them in a strictly structured manner (family lineage, records, death, and reviews), so they show similar development patterns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However, in the case of <Lee Ok-bong's Haengjeog>, even though it is the same Haengjang style prose, there are many part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literary styl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aengjang style prose. For example, the meeting and farewell of two characters, Ok-bong and Jo Won,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plot, and in developing the details, dialogue is used to specify the scene. In addition, as the narrative progresses, the conflict between Ok-bong and social ethical norms is revealed, and she is defeated in this process, leading to a tragic ending, and taking these facts togeth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arrative grammar of the novel is utilized in the describing grammar of <Lee Ok-bong's Haengjeog>. In addition, the fact that <Lee Ok-bong's Haengjeog> was written about 100 years after Ok-bong's death and that, in the 17th century, when the author, Jo Jeong-man (1654-1739), was alive, biographical romance novels were actively created and enjoyed by male intellectuals of the nobility makes it even more connected to the novel. If so, it is judged to be a meaningful work in defining the literary stylistic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unique descriptive grammatical features of <Lee Ok-bong's Haengjeog>, which are not visible in the general Haengjang style, in relation to the novel genre that started from Jeon(傳).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e Ok-bong's Haengjeog> in terms of content, form, and expression and then examined its literary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novel.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Lee Ok-bong's Haengjeog> follows the general format of Haengjang style prose, but the detailed content is close to a novelistic Jeon that focuses on characters or unusual events themselves using novel narrative grammar and focuses on literary figuration (reflecting elements of romance biographical novels). In the end, it can be judged that the descendant Jo Jeong-man wrote <Lee Ok-bong's Haengjeog> by reflecting the novelistic narrative grammar and characteristics with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literary artist who dominated the era, rather than describing a stereotypical woman as a member of the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