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온라인게임 규제제도 개선을 위한 행정법적 연구 – 등급분류제도와 자율심의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Law for the Improvement of the Online Game Regulatory System in Korea – Focusing on the grading and self-regulatory syste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0.04
34P 미리보기
국내 온라인게임 규제제도 개선을 위한 행정법적 연구 – 등급분류제도와 자율심의제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法學論文集 / 44권 / 1호 / 305 ~ 338페이지
    · 저자명 : 김용민

    초록

    국가가 직접 처분하고 규제하던 전통적인 행정법 관계에서는 국가는 공익의 수호자로서 국민의 복리민복 전반을 배려하여왔다. 그러나 시대적 변화와 함께 국민의 행정법상 지위가 향상되면서 행정주체의 우월적 지위나 종전의 수직적 감독적 법률관계는 동요하고 있다. 이른바 협력적 행정 또는 법 집행이라는 법치국가의 구조변화에 따라서 행정청과 사인이 대등한 법적 지위를 가지고 행정법상 권리·의무관계를 규율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특정 행정영역에서는 민간부문이 정부나 국가보다 정보, 지식, 네트워크, 자본, 혁신능력 등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는 경향마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국가가 산업 경쟁력을 재고한다거나, 특정 분야의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적어도 민간영역과의 협력적 관계 설정은 이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실제로 최근 첨단 산업이나 융복합산업 분야에서 관련 법규가 기술혁신을 이룩하기 위하여 우선 허가, 임시허가, 사후규제, 규제 신속확인 등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고 심지어 허가 단계에서 행정청과 사업자가 이미 사전에 합의한 계획에 따라서 품목에 대한 맞춤형 허가 등을 규정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따라서, 첨단 산업이며 콘텐츠산업 전반을 견인할만한 무한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온라인게임 산업 또한 규제의 필요성과 방식 측면에서 사업자 등 민간부문의 주도적 지위를 인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논문은 미국, 유럽연합, 중국의 게임규제 시스템을 검토하고 국내 게임 관련 규제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우리 온라인게임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law relationship, which was directly disposed of and regulated by the state, the state has considered the overall welfare of the people as a guardian of the public interest. However, with the changing times and the people's status in administrative law, the superior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body or the previous vertical supervisory legal relations are agitated. This is because it is very natural to regulate th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administrative law with a legal status equal to the administrative offi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so-called cooperative administration or law enforcement. Even in certain administrative areas, the tendency of the private sector to have an edge in information, knowledge, networks, capital and innovation capabilities over the government or the country is noticeable.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if the state has the purpose of reconsidering i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or of intensively nurturing industries in a particular field, at least establish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private sector should be understood as a necessity, not an option. Indeed, it is for this reason that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high-tech and convergence industries, relevant laws recently introduce new systems such as first permission, temporary permission, follow-up regulation and quick verification of regulations, and even stipulate customized permits for items according to plans already agreed upon by the administration and operators in the licensing stage. Therefore, the online game industry, which is a high-tech industry and has unlimited competitiveness to drive the overall content industry, also needs to recognize the leading position of the private sector, including operators, in terms of the need and method of regulation. Starting from this problem consciousness, this paper examines the game regulation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and China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omestic game-related regulation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our online game regulatio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法學論文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