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등 역사 교과서의 고려시기 지배세력 서술 변화 - 교수요목기부터 2018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 (Changes in Description of Ruling Powers during Goryo Dynasty in Korean History Textbook - Across the teaching summary records and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18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10
39P 미리보기
중등 역사 교과서의 고려시기 지배세력 서술 변화 - 교수요목기부터 2018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30권 / 63 ~ 101페이지
    · 저자명 : 문경호

    초록

    광복 이후 역사학자들의 가장 큰 과제는 일제가 구축한 식민사관으로부터 탈피하는 것이었다. 고려사회를 중세사회로 규정한 것이나 조선후기에 등장한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변화를 내재적 발전론이라는 시각에서 중시한 것이 그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역사학계의 연구 동향은 역사 교과서의 서술에도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역사 교과서에서 고려시대 집권층을 호족, 문벌, 무신,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등으로 분류한 것도 학계의 연구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배세력을 일컫는 용어나 개념은 연구자에 따라 달리 정의되고 분류될 수 있다. 그러한 과정에서 연구자들 간의 논쟁이나 비판이 있을 수도 있다. 서로 다른 견해를 지닌 연구자들 간의 논쟁은 특정한 정치세력이나 사건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구체화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과서에 특정 용어가 차용되는 순간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것은 학생들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와 역사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재의 역사교과서에 등장하는 고려시대의 지배세력인 호족, 문벌, 무신, 권문세족, 신진사대부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어떻게 등장하였는지, 어떻게 변화하는 지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크게 시기를 교수요목기~제2차 교육과정 시기, 국정교과서 시기, 2007개정~2018개정 교육과정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교과서에 등장하는 지배세력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변화하는 양상과 배경을 추적하고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d how the descriptions have been chang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on the ruling power during Goryo Dynasty. The ruling powers at Goryo Era were understood as changed in sequence of local clan, power family, military official, influential family and neo-nobility. But such terminologies were not described on the textbooks in the early stage. For example, using the terminology of local clan for the meaning of ‘ruling power emerged at the end of Sylla Dynasty’ was from the 3rd curriculum. Later, at the entry into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e explanation on the patterns of local clan was added.
    The terminology of power family was changed to power family nobility at the 4th education curriculum when the terminologies of civil official, civil official nobility and clan power had been used firstly. They were unified to civil clan at the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on 2018. The military official and civil official were used in mix, and only the terminology of military official became to use from the 3rd education curriculum. The terminologies of Dobang (Urban unit), Seobang (Civil unit) and Jungbang (Political unit) emerged during the military official reigning era started to use widely.
    The power family clan that appeared at the interruption era of Yuan Dynasty used the terminologies of the power family nobility, Yuan friendly group and traditional noble family and they started to be expressed in power family clan at last during the 5th education curriculum. In the beginning, its meaning was Yuan Dynasty friendly power simply, but it was used for the meaning inclusive the powers in variety like the family, Yuan Dynasty friendly power and national king close associate.
    Using the terminology of nobility for calling the Confucian scholar at the end of Goryo Dynasty as currently was from the 3rd education curriculum. Starting of such using for the Confucian scholar who showed the stand-off position against the power family clan was firstly us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t the 3rd education curriculum. Later on, at the 4th education curriculum, the terminology of neo-nobility was used at last in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The terminologies and concept are important for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categorizing the specific power or event. But it had been expressed differently at the specific era or by the researcher. In this meaning, looking into the trends of the concept and terminology can be important in studying history joi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