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를 중심으로 - (A Suggestion for the Educational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Art - On Sir John Everett Millais’s Ophelia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6.07
34P 미리보기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한 제언 - 존 에버렛 밀레이의 그림 &lt;오필리아&gt;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40권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고정희

    초록

    이 논문은 문학 작품과 미술 작품 앞에서 도대체 할 말을 찾을 수 없는 조용한 감상자들을 어떻게 하면 활발하게 자신의 감상을 표현하는 감상자로 만들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언어적 리터러시와 시각적 리터러시가 호혜 관계에 있음을 이론적으로 살폈고, 존 에버렛 밀레이(Sir John Everett Millais)의 그림 <오필리아>를 통해 언어적 리터러시와 시각적 리터러시를 동시에 갖추는 것이 어떤 것인지를 실제로 살필 수 있었다.
    밀레이는 수세기의 회화적 관습에서 탈피하여 햇빛 아래에 보이는 자연의 밝고 선명한 색채를 표현한 혁신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시각적 리터러시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각적 리터러시는 『햄릿』이라는 문학 정전에 대해 자신만의 해석을 시도했던 밀레이의 언어적 리터러시와 분리되지 않는 것이었다. 그 결과 그는 그동안 문학비평에서는 거대 서사에 치여 소외되었던 오필리아를 비극적이지만 아름답고 찬란한 주인공으로 되살릴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밀레이의 그림 <오필리아>는 미래의 미술교육과 문학교육에서 지향하는 공감적이고 소통적인 인재를 기르는 데 있어서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그러나 문학과 미술의 교육적 융합을 위해서는 아직도 연구해야 할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이것의 출발점으로서 문학과 회화의 관계를 진지하게 탐구하고 시각적/언어적 리터러시의 호혜성을 생생하게 예증했던 라파엘 전파의 화가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one can encourage students who cannot verbalize their thought on works of literature and art to express themselves clearly and empathize with the work. Studies have revealed that “verbal literacy” and “visual literacy” are theoretically reciprocal; Sir John Everett Millais’s Ophelia is an example of the convergence of these two literacies.
    Millais had a visual literacy that made him refuse the worn out artistic conventions and use the bright and pure colors of nature seen in the sunlight. This visual literacy is inseparable from his verbal literacy,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terpret Hamlet very differently from the canonical interpretations. As a result, he is able to revive Ophelia, who is regarded as a minor character in conventional literary criticism that emphasizes only the hero’s main stories, into a beautifully vivid main character. Millais’s Ophelia offers implications for the way one can develop students’ abilities to communicate with and feel empathy for isolated characters, which could be a common goal for future art and literary education.
    However, there remain many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in the educational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art. As a starting point, it could be suggested that one should investigate the Pre-Raphaelite painters, who are indulged in literature and art simultaneously and who exemplify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nd verbal lite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