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의 유일한 구성요소로서의 소통: 사건과 형식으로서의 사회 (Kommunikation as the Only Component of the Society: the Society as Event and For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5.08
25P 미리보기
사회의 유일한 구성요소로서의 소통: 사건과 형식으로서의 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49권 / 4호 / 235 ~ 259페이지
    · 저자명 : 이철

    초록

    루만에게 있어 사회는 소통의 생성으로 창발했고, 소통으로 유지·분화되며 존속한다. 본 논문은 첫째, 소통 개념이 사회를 정의하는 데 유일한 기준이라는 루만의 주장을 소개하고, 둘째, 그러한 정의가 사회학의 근본 난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루만의 소통 ʻ개념ʼ은 (생각들이 전제된 조건에서) 전달행동과 이해가 동시에 발생하여 전달된 것을 남기는 것이다. 전달행동/이해의 동시 발생은 사건이며, 전달된 것은 형식이다. 형식은 후속 사건에 대해 구조로서 작용한다. 사건과 형식은 이 원리에 따라 시간 축 위에서 후속 사건과 후속 형식으로 대체되어 나간다. 이러한 사건-형식의 반복은 의미를 처리하는 소통과 의미를 축적하는 ʻ의미론ʼ을 형성시킨다. 소통과 의미론은 각각 사회와 문화 개념에 대한 루만의 대안이다. 사회와 문화는 각각 사건과 형식으로서 개념적으로 분리되어 하나의 분석 틀에 통합된다. 이 원리에 따라 사회의 과정성과 안정성, 변화와 질서, 사회동학과 사회정학 역시 개념적으로 분리되어 통합된다. 이 구도는 그밖에도 구조사회학과 행위사회학을 통합하고, 실재론과 관념론을 동시에 극복한다. 행위자(전달)와 관찰자(이해)가 관계를 맺는 소통에 주목하는 이 구도는 또한 행위사회학과 지식사회학을 통합하는 프레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개념 도식은 사회의 창발과 변천을 주된 분화(사건) 원칙과 의미론(형식)의 관점에 따라 일관되게 설명한다.

    영어초록

    Luhmann traces back the emergence of the society to the generation of communication. The society reproduces itself on the basis of communication, maintaining and differentiating itself. This paper introduces the Luhmann’s arguments in that the concept of Kommunikation is the only criterium in the definition of the society, and argues that such a definition can be helpful to solve several dilemmas of sociological theory. According to Luhmann’s conception, communication occurs (under the presupposition of thoughts) on the simultaneous moment of utterance/understanding, leaving something said behind. The occurrence of utterance/understanding is an event, while ‘something said’ is a form. Form functions as a structure which encourages the next event to occur. In this principle, the event and form are replaced on the time axis with next event and form. In the course of such iterations, Kommunikation processes meaning on the one, and semantics condenses meaning on the other side. The both are Luhmann’s alternatives for society and culture, the central figures of mainstream-sociology. Society and culture are conceptually separated and integrated in a comprehensive frame.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society’s dynamics and stability are also divided and integrated in a frame. The same principle can be applied to society’s changes and order, social dynamics and statics. Besides, this perspective can also integrate the sociology of structure and of action, and overcomes the realism and idealism on the same time. Focusing on Kommunikation relating actors(saying) and observers(hearing) to each other, we can systematically observe the both, and integrate the sociology of actions and of experiences. This conceptual schema consistently explains the emergence and changes of the society, based on the primary differentiation(event) principle and semantics(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