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천도교인 金亨俊(金午星)의 활동과 사상변화 (Kim Hyeong-jun's Activities and Ideological Changes in Japanese Colonial Er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6
33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천도교인 金亨俊(金午星)의 활동과 사상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1호 / 139 ~ 171페이지
    · 저자명 : 박민영

    초록

    이 글은 천도교의 민족운동가 金亨俊의 1920~30년대의 천도교 관련 행적을 중심으로 다룬 논문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형준의 성장 과정과 사회 활동 초기에 천도교가 강한 영향을 미쳤음을 고찰하였다. 김형준은 가난한 천도교 집안에서 태어나 천도교의 교육을 받으며 지식을 쌓았고, 용천 지역 농민운동을 비롯한 실천 행동에 주력하였다. 비록 불우한 환경에서 성장하였으나, 천도교는 그에게 든든한 배경이 되어주었다.
    둘째, 김형준이 천도교단 내에서 유명세를 얻게 된 까닭을 밝혔다. 김형준이 종교를 내면화하여 이것을 실천 방식으로 확립한 것은 일본 동경 유학 시기였다. 그는 젊은 천도교 신파가 갖춰야 할 덕목들을 갖춘 인재였고, 여러 활동들을 통해 천도교 전체에서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교리를 내면화하고 활동력을 갖춘 김형준은 귀국 후 천도교청년당에서 두각을 드러냈으며, 천도교 중앙 조직에서 청년의 가치를 강조하며 다양한 직책을 맡았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1930년대 중반 천도교단의 활동 방침이 바뀌는 과정에서 천도교 지식인이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김형준은 귀국 후 천도교청년당 중앙 조직에서 청년의 가치에 주목하며 그들의 육성에 주력했으나, 건강 문제와 더불어 천도교단의 활동 방향 변화가 맞물리면서 기존 활동 유지가 어려워졌다. 그러자 김형준은 천도교와 점차 거리를 두며 완만하게 철학 쪽으로 이동을 시도하여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다만 천도교에 집중하던 시기 내면화했던 많은 것들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이 글은 천도교 신파 세력이 강했던 지역 출신의 어느 천도교인이 사회 변화를 위해 활동하는 과정에서 천도교리에 깊이 심취한 연유와, 1934년 천도교의 민족운동 노선 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Kim Hyeong-joon's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Kim Hyeong-joon was born in 1908 in Yongcheon, Pyeonganbuk-do. He was born in a Chondogyo family, and as his family was poor, he attained knowledge through Chondogyo meetings and readings instead of attending the regular school. His activities began in the mid-1920s, and they were mostly related to rural movements and Chondogyo activities. In particular, Kim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 of local rural groups and farmers' enlightenment movement, while concentrating on propagation and education of Chondogyo as a position holder in the religion. He was engaged in both religious and social activities, but he was more actively involved with activitie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such as farmers. However, he received police investigation in relation to Seoseonburi Farm case and went to Japan for study around that time. Kim Hyeong-joon entered the department of philosophy at Nihon University and began his regular studies. He also regularly attended the Chondogyo Jongniwon(administrative office) in Tokyo and conducted both Chongdogyo activities and academic studies.
    Kim’s activities were similar to the 1920's after he returned to Korea in the early 1930s, serving as a theorist of Chondogyo and a youth activist. On the other hand, he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of peasants and workers and wrote many articles based on Nietzsche philosophy in the Farmers to enlighten the peasants. However, Kim 's involvement in Chondogyo was discontinued in the mid-1930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Chondogyo Youth Party's activities that started to focus on the religion instead of social participation. In the end, he moved his activity area to philosophy which he had majored in the university and emerged as an important figure in critical literary.
    However, despite moving the area of activities, Kim Hyeong-joon continued to show interest in the public, especially the youths, farmers and workers. He was a major commentator on the ‘New Generation Theory’, and dealt with youth issues in a variety of ways. In this way, Kim Hyeong-joon pursued the realization of a theory by concentrating on the public and society as in the past when he had been involved with Yongcheon Peasant Movement and the Chondogyo Youth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