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의 정신질환 재현과 ‘은유(metaphor)’의 해체 (Representation of Mental Illness and the Deconstruction of ‘Metaphor’ in the Drama )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4.12
17P 미리보기
&lt;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gt;의 정신질환 재현과 ‘은유(metaphor)’의 해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24권 / 12호 / 173 ~ 189페이지
    · 저자명 : 김미라, 김소희

    초록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본 연구는 대학병원 정신병동 환자들과 의료진들의 이야기를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 대한 서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 드라마는 정신질환을 극의 반전이나 흥미를 위한 서사 장치로 차용했던 기존 드라마와는 달리, 환자들의 사연과 증상, 의료진들의 치료과정을 핵심 서사로 다면적인 재현을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획득했다. 또한 평범한 인물들과 의료진들까지 정신질환을 앓는 인물로 설정함으로써 ‘비정상성’의 은유와 경계를 허물고, 등장인물들이 치료 후 일상으로 복귀하는 서사를 통해 정신질환이 사회적 위협이 되는 반영구적인 불치병이 아니라 ‘관리의 병’임을 강조한다. 더욱이 이 드라마는 현실적 개연성을 가진 에피소드를 제시, 정신질환자에 대한 근거 없는 혐오와 차별의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사회적 의제로 끌어 올린다. 이 연구는 정신질환에 대한 뉴스 보도에 비해 그동안 학술적 논의가 부족했던 드라 마의 정신질환 재현방식과 담론, 사회적 기능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As societal interest in mental illness grows, this study conducts a narrative analysis of the Netflix drama <Daily Dose of Sunshine>, which depicts the stories of patients and medical staff in a psychiatric ward at a university hospital. The analysis reveals that, unlike previous dramas that used mental illness as a narrative device for plot twists or intrigue, this drama centers on the patients’ experiences, symptoms, and the treatment processes of the medical staff. Through multifaceted portrayals, it fosters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mental illness. Furthermore, by including ordinary characters and medical professionals as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 the drama challenges metaphors of “abnormality” and blurs its boundaries. Through narratives of characters returning to everyday life after treatment, it emphasizes that mental illness is not a permanent, untreatable societal threat but rather a “manageable condition.” Additionally, the drama presents episodes grounded in realistic plausibility, raising issues of unfound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bringing these concerns to the forefront of societal discour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presentation, discourse, and societal functions of mental illness in dramas which has been lacking academic attention compared to news coverage on mental ill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