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감도(烏瞰圖)-시제1호(詩第一號)>에 나타난 회화성 연구 -시어 ‘그리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ictoriality of Ogamdo-Poem Title No. 1 ― With a focus on the new interpretations of the poetic word ‘그리오’.)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1.04
19P 미리보기
&lt;오감도(烏瞰圖)-시제1호(詩第一號)&gt;에 나타난 회화성 연구 -시어 ‘그리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어문화 / 74호 / 165 ~ 183페이지
    · 저자명 : 이병철

    초록

    본고는 이상의 <오감도> 연작 중 <오감도―시제1호>에 나타난 회화적 성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오감도―시제1호>에 대한 기존 연구사가 꽤 방대하게 축적되었으나 이 시에 나타난 회화성, 이상의 화가로서의 면모에 주목한 자료는 찾아볼 수 없다.
    이상은 단순한 애호의 차원을 넘어서서 미술에 조예가 매우 깊었다. 색, 빛, 선, 점, 도형 등 미술의 요소를 문학에 접목시키려는 다채로운 시도를 하기도 했다. 이상의 미술에 대한 관심과 재주는 <오감도―시제1호>에서 막다른 골목으로 질주하는 아이들을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며 캔버스에 옮기는 화가의 시선으로 나타난다. 이때 그림 그리는 행위의 주체가 스케치하는 것은 아이들의 질주놀이(술래잡기)이고, 인상적인 종결어미 ‘그리오’는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 상태를 말하는 발화법 ‘그러오’인 동시에 그림을 그리는 주체, 즉 시의 화자가 자신의 행위를 설명하는 발화법 ‘그리오’라는 것이 본고의 핵심 주장이다.
    이상은 아이들의 술래잡기 놀이를 통해 식민치하와 근대화에 대한 당대의 불안과 공포를 표현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상이 근대라는 불가해한 타자가 시대를 잠식해나가는 과정을 술래잡기 놀이로 은유해 그것을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그리는 ‘조감도’의 회화적 요소로 형상화해내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ictorial nature of Ogamdo-Poem Title No. 1 in Lee Sang's Ogamdo series. There is a huge accumulation of previous research on the work, but none of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its pictoriality and the poet’s aspects as a painter.
    Lee Sang had considerably profound knowledge of art beyond the level of simple love. He made colorful attempts at incorporating the elements of art including colors, light, lines, dots, and figures into his literature. His interest and talent in art is exhibited in the eyes of the painter looking down at children dashing toward a dead end from a high point and depicting them on the canvas in Ogamdo-Poem Title No. 1. The present study mainly maintains that what the subject of painting in the poem sketches is children’s play of running fast(hide-and-seek) and that the impressive sentence-closing ending ‘그리오’ represents ‘그러오,’ which is children’s way of speaking about their emotions, ideas, and conditions, and also ‘그리오,’ which is the way that the subject of painting or the speaker of the poem explains his act.
    Lee Sang wanted to express the anxiety and fear of his times about colonial rule and modernization by depicting children’s hide-and-seek play. The present study traced the process of the poet using the metaphor of hide-and-seek to describe the process of the modern times eating away the times as inexplicable others and embodying it through pictorial elements of “bird’s eye view” to paint the play from a high point while looking d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어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