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탄광 희생자의 공양과일(日)․한(韓)․조(朝)의 ‘우호’ -일본의 옛 채굴지 치쿠호(筑豊)의 주민 실천을 사례로- (Offering for the Coal Mine Victims, and ‘Amity’ between Japan, Korea, and Chosun -through the community practice in Chikuho(筑豊), former mine site in Japa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0.02
39P 미리보기
탄광 희생자의 공양과일(日)․한(韓)․조(朝)의 ‘우호’ -일본의 옛 채굴지 치쿠호(筑豊)의 주민 실천을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35권 / 311 ~ 349페이지
    · 저자명 : 가와마쓰 아카리

    초록

    일본의 옛 채굴지 후쿠오카현 치쿠호에는 보타라고 불리는 나무화석이 놓여진 무연(無緣)묘비가 곳곳에 남아 있다. 이것들은 일제시기 치쿠호 탄광에서 노동한 조선인의 무덤이라고 말해지는 경우가 많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무연묘를 공양하는 지역 주민들의 실천 ‘쇼간보리공양탑(松岩菩提供養塔)’ 사례를 논하였다.
    이 실천을 버내큘러한 실천으로 자리매김 한다면, 그 버내큘러성의 특징은, 이하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버내큘러 어원을 거슬러 오를 수 있는 구체적인 토지/장소에 뿌리 내린 것으로서의 버내큘러성이다. 쇼간보리공양탑 건립에 이르는 경위를 살펴보면, 파헤쳐진 공동묘지의 유골을 수습해 납골식 공양탑을 건립하려 한 주민들의 실천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버내큘러 원천이 되는 토지/장소를 되찾는 운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는 이 토지/장소에 안치된 유골들은 무연(無緣)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이 이 토지/장소와 ‘유연이 될’수 있다고 하는 성질이다. 운동의 중심이 된 사람들은 쇼간보리공양탑이 건립된 공동묘지 현장을,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사망해 이곳에서 공양되는 무연묘의 ‘유연의 땅’이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원래 타지 사람들인 탄광노동자에 대한 ‘탄광꾼’이라는 멸칭을 굳이 사용하면서, 자신들(일본인)도 코리안도 “모두 똑같은 탄광꾼”이었다며, 공양하는 이들도 무연 사망자와 ‘유연’이 되려고 하였다. 현재 쇼간보리공양탑의 공양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언설로부터, 그/그녀들이 다양한 사회관계를 계기로 하여 실천에 참여해, 점차 쇼간보리공양탑과 자신들의 관계에서 필연성을 찾아내고, 이 토지/장소와 ‘유연’을 맺어온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째는 버내큘러한 사람들의 상상성․창조성은 전술한 토지/장소가 존재함으로써 비로소 성립한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쇼간보리공양탑이 세워져 있는 토지/장소가 조성하는 독특한 상쾌한 ‘분위기’를 통해 이를 고찰했다. 무연 사망자, 특히 재일코리안에 대한 상상력을 환기시키는 쇼간보리공양탑의 토지/장소의 분위기는, 공양탑 건립에 관여한 사람들에 의해 조성되어, 항상 날씨에 노출되며 정기적인 청소 활동 등으로 정비되고, 보존되어 온 것이다. 실천에 관여한 이들은 이 토지/장소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으면서, 여기에서 각각의 상상력을 발휘해 새로운 이야기와 노래를 창출해 내고 있었다. 쇼간보리공양탑에서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일본인과 재일코리아 동포의 우호’의 풍경은, 이러한 쇼간보리공양탑의 토지/장소와 사람들의 버내큘러한 창작력․상상력의 상호성 안에 존재한다. 일본인과 재일코리안의 국적을 넘어서는 협동에 의해 탈환된 쇼간보리공양탑의 토지/장소는, 폐광 이후 지역진흥에 의해 그 흔적이 소거된 탄광마을에 살아남아 있었을지도 모를,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영어초록

    Former mine site in Japan, Chikuho in Fukuoka, there remain several tombs without names, accompanied by wooden tombstones called ‘bota’. These tombs are often said to be those of the Chosun people, who had worked in Chikuho mine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This article discusses the example of ‘Shouganbodai offering pagoda(松岩菩提供養塔)’, the community practice to give offering for the unnamed tombs, When considering this practice as a vernacular practice, the three characteristics its ‘vernacularity’ are as below. First characteristic is the vernacularity rooted in the specific land, which may be traced back to the origin of the word vernacular. By taking a look a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the community practice to retrieve the remains from the cemetery and build a offering pagoda with the ashes of the remains is above all the movement to recover the land, which is the source of vernacular. Secondly, as the remains laid in the land are not connected to any relatives, various people may ‘make connection’ to the land. Essential members of the movement assert that the cemetery site with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is the ‘land of connection’ for the non-connected tombs, for the people who couldn’t return to hometown and receives offering here. Moreover, by intentionally using the word ‘miner(탄광꾼)’, which was originally a negative word for the coal mine workers from other regions, the members say that Japanese themselves and Koreans were “all the same ‘miner(탄광꾼)’”, attempting to make connection between the people who give the offering and the non-connected deceased. Through the statements of the peopl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offering ceremony of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it is found that people take part in the practice based on a variety of social relations, gradually discover the necessity of relationship between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and themselves, and make ‘connection’ with the land. Third characteristic is that the vernacular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peopl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land mentioned above. This article contemplates the characteristic through the unique and fresh ‘atmosphere’ created from the land with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The atmosphere of the land with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which reminds the imagination about non-connected deceased, especially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is created by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offering pagoda. As the pagoda is always exposed in the open air, it is maintained and preserved through regular cleaning activities. Participants were creating new storied and songs with their own imagination, affected by the atmosphere of the land. The scene of ‘amity between Japanese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currently found in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is existing in the mutuality between the land with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and the vernacular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people. The land of Shouganbodai offering pagoda which was reclaimed by the cooperation of Japanese and Korean residents in Japan beyond the nationality makes the space to imagine more various people, who might have remained in the coal mining village, whose traces were disappeared under the local rehabilitation after the mines were abando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