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the Settling Period of the Gwandong-Palkyung by the Thematic Exploration of Joseon Landscape Poetry and Painting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7.03
15P 미리보기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5권 / 1호 / 10 ~ 24페이지
    · 저자명 : 노재현, 손희경

    초록

    관동팔경의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관동 명승의 집경에 따른 팔경 형상화 및 정착시기를탐색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關東八景’이란 최초 용례(用例)는 이황의 「答洪應吉」로 볼 때, 관동팔경은 이미 16세기 이전 당시 인들의 인식 속에 존재하였을것으로 추론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지리지 분석 결과, 관동팔경은 16세기 초․중반에 관동십경으로의 확장 또한 이루어졌다. 최초의 관동팔경에 대한 집경은 신즙의 「詠關東八景」으로 확인됨에 따라 관동팔경이라는 용어는 문학 분야에서는 최소한 16세기이전부터 존재하였으며 현재의 세트화된 관동팔경으로 정착된 시기는 늦어도 17세기 초반이라 추정된다. 관동 명승의 출현빈도 분석결과, 시문에 등장한 관동 명승은 관동팔경 경물에 대한 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한편 회화 분야에서 오로지 관동팔경만을 모은그림은 허필의 『關東八景圖屛』에서 최초로 확인되는데 실경산수화에서 표현된 관동팔경은 시문에서의 집경 양상과 유사한 경향을보이지만 화제 출현률 순위로 볼 때 시각적 결속력과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드러났다 이는 일정한 관념체계 상 특정 의의를 지닌회화의 도상(圖像)을 중요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더불어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들어 제작된 다수의 민화 형식의팔폭병풍(八幅屛風)은 관동팔경의 문화현상이 보편적 수용기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증좌이다. 또한 조선후기 성행한 남승도놀이등 명승유람놀이에 등장하는 강원도내 13개의 명승에는 관동팔경이 오롯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때 조선 말기 관동팔경은 놀이문화속에서도 확고하게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관동팔경의 인식은 15세기 전반 이전부터 있어 온 것으로 보이고, 16세기 형상화 과정의 지속적전개를 통해 17세기 정착되었으며 18세기에 들어 관습화·보편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궁극적으로 관동팔경은 고려시대부터 별개의경물로 명성을 얻은 지역 명승이 17세기 후반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관동 명승 중에 관동팔경은 오랜 기간 여러사람의 탐승과 유람문화 향유(享有)를 통해 오직 여덟 개의 최상의 명소만을 추리기 위한 절차탁마(切磋琢磨)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고배태된 국내 대표적 팔경임을 일깨워준다.

    영어초록

    The research takes note of the formation process and settling period of Gwandong-Palkyung(關東八景, Eight Sites of Eastern Korea), the representative palgyeong(prominent eight sites) and jipgyeong(集景, landscape collection of scenic beauty), and investigates the time of formation regarding the palkyung and jipgeyong of Gwandong’s scenic beauty through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bibliographic data, and reference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the first document that records the terminology of “Gwandong-Palkyung” is 「Daphongeunggil(答洪應吉)」 of Yi, Hwang(李滉), Gwandong-Palkyung is inferred to be settled within the recognition of the people even before the 16th century. The geographic analysis result including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Gwandong-Palkyung expanded as Gwandong- Sipkyung in early to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first confirmed landscape collection regarding Gwandong-Palkyung in this study is confirmed in Shin Zup(申楫)'s 「Yeonggwandong-Palkyung(詠關東八景)」, thus, the terminology of Gwandong-Palkyung existed before 16th century at the latest. The settlement time of current “Palkyung” collection is estimated to be early 17th century at the latest. Poetries regarding Gwandong-Palkyung, and the frequency on the appearance of Gwandong scenic beauties are analyzed as making clear of the concentrated phenomenon on the sceneries of Gwandong-Palkyung.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of Gwandong-Palkyung in the domain of arts is confirmed initially in the《Gwandongpalkyungdobyeong(關東八景圖屛)》of Heo, Pil(許泌).
    Gwandong-Palkyung, expressed as the actual scene landscape painting shows similar tendencies of the conditions in the jipgyeong from the poetry, but the appearance rate of the painting subject was more prominent in visual solidarity and cohesion due to the reflection of the importance on icon(圖像) of the art works produced with particular meaning in the case of fixed ideal system. From late Joseon to modern times,《palpokbyeongpung(八幅屛風)》of various forms of folk painting is a corroborative evidence notifying that the cultural phenomenon of Gwandong-Palkyung has entered the universal period of embrace. Also, the 13 scenic beauties of Gangwon-Do appearing in the games of Namseungdo and Myeongseungyuramdo include Gwandong- Palkyung, which confirms the settlement of Gwandog-Palkyung even within the culture of games in late Joseon.
    Such results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awareness regarding Gwandong-Palkyung from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which is presumed to have completely settled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formative process in the 16th century. Ultimately, Gwandong-Palkyung is the concrete formation of regional scenic beauties that individually gained its reputations as scenery from the Koryo Dynasty to late 17th century. Gwandong-Palkyung of the scenic beauty of Gwandong is a unique cultural scenery of the region that have germinated and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cutting and polishing of long time to collect the best eight of scenic beauty from the many participation of sightseeing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