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소환 콤플렉스 양상 연구 (Study of the Summons Complex in Jung-hee Oh’s Old Wel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19.03
25P 미리보기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소환 콤플렉스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76호 / 75 ~ 99페이지
    · 저자명 : 서철원

    초록

    본 연구는 오정희의 「옛우물」에 투영된 ‘소환 콤플렉스’와 그 상반된 지점에 놓여 있는 ‘소멸’의 서사적 상관성에 주목한다. 모든 사람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과 관련하여 자아를 둘러싼 공간의 좌표를 인식하기 마련이다. 시간상 어느 때에 존재했고, 어느 공간에 배치되어 있었는가는 존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과거를 떠올리는 일련의 행위를 ‘소환 콤플렉스’라고 명명할 때, 이 과정에 드러나는 시간과 공간은 텍스트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여기에는 시간 이미지의 파생적 접근을 위한 역동성이 존재하면서도 심층 공간에 자리 잡은 무의식적 상황이 발견된다. 이것은 주로 깊은 내면에 떠도는 사건의 원형을 찾아나면서 나타나며, 기억과 망각의 충돌로 인한 내면의 증폭과정 자체가 ‘소환’을 추동하는 무의식 작용으로 기능한다. 오정희의 「옛우물」은 ‘연당집’과 ‘우물’을 둘러싼 시간과 공간의 위상이 기억의 소환에서 시작돼 망각의 과정을 거쳐 화해·치유·회복에 이르는 주체적인 소멸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오정희의 「옛우물」에서 드러나는 ‘자아 정체성’·‘실존성’의 주제와 관련하여 ‘소환 콤플렉스’와 그 반대편에 위치한 ‘소멸의 역설’에 이르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작품·작가에 관한 새로운 관념과 시각을 제시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arr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mmons complex reflected in Jung-hee Oh’s Old Well and extinction, which is placed at the opposite. Anyone’s experience recognizes a spatial coordinate around oneself relative to the passage of time. Where one existed at a particular point in time or where one was placed in a certain place serves as an important clue to prove one’s existence. When we define a set of behaviors recalling the past as ‘summons complex,’ time and space revealed during this process work as important factors that constitute the text. An unconscious situation is found therein, which is positioned deep inside one’s inner space with dynamics to approach derivatives from the image of time. It manifests itself when one is looking for the prototype of an event floating in one’s inner space, and an amplifying inner world from a conflict between memory and oblivion functions unconsciously to drive ‘summons.’ Jung-hee Oh’s Old Well reveals a natural aspect of extinction leading to reconciliation, healing and overcoming where summons memory begins with the state of time and space around the artificially destroyed yeondangjib and gradually results in obliv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examined how the topic of ‘self-identity’ and ‘existence’ begins with the ‘summons complex’ and leads to the ‘paradox of extinction,’ which is located at the opposite, in Jung-hee Oh’s Old Well and presented a new idea and perspective on the novel and its auth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