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시대 俠士 豫讓에 대한 담론과 그 의미 (Discourse and Significance of the Knight-Errant Yeyang(豫讓) in the Joseon 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4.12
35P 미리보기
조선 시대 俠士 豫讓에 대한 담론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44권 / 65 ~ 99페이지
    · 저자명 : 정하정

    초록

    본고는 조선 시대 豫讓에 대한 담론의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예양에 대한 담론은 통시적으로 긍정과 부정이 혼재된 상태로 전개되었으며, 공시적으로는 동시대 인물 간에 예양 관련 문답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담론의 場은 예양의 충성과 복수가 갖는 양면성과 더불어 『資治通鑑』과 『小學』에 기록된 胡寅의 史評이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형성되었고, 여기에다 조선의 시대적 위기 상황이 더해지면서 그 담론 양상의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北伐論이 대두되던 시기와 일제강점기에는 예양에 대한 긍정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는 복수와 절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였다. 북벌론을 주도한 宋時烈과 權尙夏, 청나라에 대항하고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킨 呂留良을 예양에 비유한 洪直弼 등이 제기한 논의는 예양의 복수가 조선 사회의 귀감이 되었음을 보여 준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항일운동을 주도한 애국지사들이 예양을 통해 일제에 대한 복수 의지나 저항 정신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조선 시대 예양 담론은 긍정적․부정적 관점이 혼재하는 가운데, 특히 국가적 위기 속에서 그 충성과 복수의 정신이 재조명되었다. 이는 중국 역사와 문학을 조선 사회가 수용하고 자기화한 중요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들을 추가로 분석한다면, 조선 시대 중국 역사와 문학 수용의 전반적인 양상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Yeyang(豫讓) during the Joseon Dynasty. Diachronically, the discourse on Yeyang unfolded with a mixture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Synchronously, intellectuals of the same era exchanged discussions on Yeyang. The duality of Yeyang's loyalty and revenge, along with the historical commentary(史評) by Hu Yin(胡寅) recorded in Zizhi Tongjian(資治通鑑) and Xiaoxue(小學), sparked debates and shaped the discourse. Additionally, the political crises of the Joseon perio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is discourse.
    In particular, during the rise of the Bukbeollon(北伐論, "Northern Expedition") movement and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positive discussions on Yeyang became more prominent. This shift reflected societal demands for revenge and loyalty. Figures such as Song Si-yeol(宋時烈) and Gwon Sang-ha(權尙夏), who led the Bukbeollon, praised Yeyang’s revenge as a example to be followed, while Hong Jik-pil(洪直弼) likened Yeyang to Lü Liuliang(呂留良), who resisted the Qing Dynasty and upheld loyalty to the Ming Dynas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also used Yeyang as a symbol to express their desire for revenge and resistance against Japan.
    Thus, the discourse on Yeyang in the Joseon era shifted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iews, particularly in times of national crisis, when Yeyang's spirit of loyalty and revenge was revisited. This case serves as an important example of how Joseon society accepted and adapted Chinese history and literature. Further analysis of similar cases will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broader patterns in Joseon’s reception of Chinese historical and literary tra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