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 영⋅러 대결과 조⋅청 속방관계와 관련하여 (The Beginning of Britain’s Diplomatic Policies to Open Korea in the 19mid Century: With Regard to the Anglo-Russian Confrontation and the Korea-Qing Tributary Relationship)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7.05
33P 미리보기
19세기 중반 영국의 대조선 문호개방정책 기원 — 영⋅러 대결과 조⋅청 속방관계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4권 / 2호 / 9 ~ 41페이지
    · 저자명 : 한승훈

    초록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동아시아 주재 영국외교관이 모색한 대조선문호개방정책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크림전쟁이 발발하자, 영국 함대는 1854년 8월 말에 프랑스와 공동으로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 기지를 공격하였다. 그와 동시에 홍콩 총독 보어링은 외무부 장관 클레멘든에게 유럽 열강이 참여하는 대조선 문호개방 정책을 외무부에 제안하였다. 1865년 주청 영국공사 웨이드도 러시아가 조선과 육로 통상을 추진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유럽 열강과 공동으로 조선의 개방을 구상하였다. 영국외교관들이 조선의 문호개방을 구상하게 된 이유는 러시아의 독점적인 조선 진출을 차단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상업적 이익을수호하기 위함이었다. 그들은 유럽 열강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조선의 문호개방을 구상함으로써, 조선을 열강의 이익이 균점되는 협력의 공간으로 만들고자 했다. 하지만 조선은 청의 속방으로 알려져 있었기에영국은 조선정부의 통치권 행사 여부를 확인했어야 했다. 영국외교관들은 청으로부터 조선이 속방이긴 하지만 내정과 외치를 자주적으로맡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국은 조선을 실질적인 독립국으로 고려하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true purpose behind Britain’s diplomatic policies to open Korea, undertaken by British diplomats in East Asia in the mid-19th century. When the Crimean War broke out in 1854, the British-French combined fleet attacked the Russian military and naval base at Kamchatka; at the time, John Bowring, Governor of Hong Kong, made a proposal to the 4th Earl of Clarendon, Secretary of State for Foreign Affairs in UK, to open Korea, together with European powers. In 1865, Thomas Wade, the British Minister to China, made plans to open Korea in association with other European powers in order to deter Russian aggression towards Korea. The reason that British diplomats chose to open the doors of Korea was to protect British commercial interests in East Asia by blocking the exclusive entry of Russia. By undertaking the opening of Korea, in association with other European powers, they attempted to make Korea a place where shares of interests were equally divided. However, since Korea was known to be a vassal state of Qing, Britain was required to check whether or not Korea had its own sovereignty. British diplomats confirmed that although Korea was a vassal state, she had sole responsibility for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Britain therefore began to regard Korea as an independent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