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적 휴머니즘: 길희성의 일원론적 형이상학에 관한 고찰 (Spiritual Humanism: A Study on Keel Hee-sung’s Monistic Metaphysic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4.12
23P 미리보기
영적 휴머니즘: 길희성의 일원론적 형이상학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철학 / 48호 / 301 ~ 323페이지
    · 저자명 : 김희헌

    초록

    이 논문은 종교철학자 길희성이 오늘날 지구적 차원에서 맞고 있는 문명의 위기를 풀어갈 사상적 열쇠로 제시한 ‘영적 휴머니즘’에 관한 연구이다. ‘영적 휴머니즘’은 기독교신학이 역사적으로 경험한 세 가지 도전이라 할 그리스 철학과의 결합, 근대 과학의 도전, 동양 종교와의 만남에 얻은 경험을 하나의 사유 체계로 통합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있다. 그는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적 이상을 토대로 영성과 휴머니즘이 양립할 수 있는 ‘제3의 길’ 즉, 지성으로부터 멀어진 종교의 ‘초자연주의적 유신론’과 영성을 잃은 탈종교적 세속주의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길로서 이 개념을 제시한다. 그의 영적 휴머니즘은 인간의 영적 본성과 창발적 우주의 역동성에 관한종교와 과학의 제 가르침을 하나의 통합적 형이상학으로 묶은 종교적 세계관으로서, 범재신론적 우주론의 지평에서 절대적 존재를 향한 인간의 실존적 추구가 지닌 의미를 밝힌다. 이 논문은 영적 휴머니즘의 두 기둥이라 할 수 있는 인간론과 신론을 먼저 개관하고, 양극적 범재신론과의 대화를 통해서 그의 일원론적 형이상학이 지닌 특징과 남겨진과제를 밝힌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religious philosopher Keel Hee-sung’s concept of ‘spiritual humanism’ as a key conceptual approach to the global civilizational crisis we face today.
    Spiritual humanism seeks to integrate three historical challenges that Christian theology has faced: its synthesis with Greek philosophy, the challenge of modern sciences, and its engagement in dialogue with Eastern religions. Inspired by Thomas Aquinas’s idea of harmonizing ‘faith and reason’, he proposes a ‘third way’ where spirituality and humanism can coexist, countering both supernaturalist theism divorced from reason and secularism devoid of spirituality. His spiritual humanism is a religious worldview that integrates diverse religious and scientific insights about human spirituality and the emergent dynamism of the cosmos into a consistent metaphysical framework. Set within a panentheistic cosmology, it elucidates the significance of human existential quest for the Absolute. This study first reviews theoretic underpinnings of the spiritual humanism, and then examines its characteristics and unresolved issues, engaging in dialogue with bipolar panentheism to highlight its monistic metaphys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