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欽英』 일기에 재현된 경험적 시간의 의미 (“The Empirical Time in the Diary Humye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08.06
30P 미리보기
『欽英』 일기에 재현된 경험적 시간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1호 / 477 ~ 506페이지
    · 저자명 : 김하라

    초록

    본고는 현재까지 지속되는 일기형식의 확정과 역서의 보급이라는 동시대적 현상에 주목하여 『흠영』 일기의 시간의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개 사인(士人)인 유만주가 자발적으로 하루도 빠짐없이 일기를 쓴 것은, 그가 그만큼 하루의 반복과 지속이라는 일기의 시간을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시간을 수량화되고 균일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시간관은 역서에 제시된 그것과 부합하며, 이런 면에서 『흠영』은 일기가 역서의 영향으로 형식을 확정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또한 유만주는 일기라는 형식이 역서와 관련이 있음을 자각하고 있고, 더 나아가 역서가 일기에 규정한 내용상의 한계를 넘어서려 하고 있기도 하다.
    한편 『흠영』의 날씨 기술 부분과 시간 표현 방식을 검토한 결과 하루의 시간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함으로써, 하루를 온전히 자신의 일기에 기록하고자 하는 유만주의 서술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시간과 날씨에 대한 그의 예민한 감수성은 자연경물의 변화에 대한 심미적 인식이나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는 시선으로 연결되고 있는바, 『흠영』의 내면일기로서의 면모는 유만주의 시간의식과도 관련이 있다.
    유만주는 시간의 일회성과 존재의 개별성 및 고유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일기쓰기에 ‘사’(史)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 자신의 일기가 파편적인 시간의 기록이 되지 않게끔 서술의 주체인 자아와 결부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diary gives the impression of grabbing hold of everything the diarist encounters. It seems to promise that whatever topic interests the researcher. In remarking on Yu Man-ju's enthusiasm for everyday life and all the books of the world, some researchers obscures a point more historically significant and textually demonstrable than the abstract attribute of enthusias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ime of Heumyeong as a diary. At first, I remark the external affinity between the almanac and the diary. In eighteenth-century Choseon, new conceptions of time took shape as a result of the popularization of the almanac. Time in the almanac is steady and continuous rather than intermittent and has calendrical grid. This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a diurnal form by giving a template for textualizing time and self. The day's narrative is plotted on a continuous, calendrical grid.
    In Heumyeong, the dated entry is the fundamental unit enclosure. The calendrical contiguity of the entries encloses each and enacts that calibrated continuity. In the pages of his private narrative, Yu Man-ju constructs autonomy. He can observe and record himself in a time-ordered way. Heumyeong inscribes a private account of the new time, more assiduously, and more attentively than does any of its contemporaries. Yu Man-ju draws on antecedents in his culture but works changes on them. I argue that what Yu man-ju did with time and text is central to his achievement as a diar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