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Korea’s Education Enthusiasm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3.08
40P 미리보기
Korea’s Education Enthusiasm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청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청계사학 / 26권 / 149 ~ 188페이지
    · 저자명 : 한태빈

    초록

    Education enthusiasm is a social value that stimulates passion for learning. In previous studies on the enthusiasm for education, the succession and disconnection of pre-modern and modern times were debated, but the current mainstream argument seems to be that the two fundamentally differ in character. This paper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intellectual tradition is persistent, even if it is not invariabl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monstrate from historical sources a likely origin of talent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intellectual history.
    This study analyzed the rapid change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by examining literary anthologies (文集)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t newspaper articles in the modern era. In addition, as it spanned both eras, analysis focused on keywords that could reflect each era, connecting the two by presenting a keyword-based framework and comparing the structure across eras. The idea of gohak (苦學) was evaluated through depictions of 'studying diligently even in a poor environment' in both eras.
    Next, the keywords were extracted by examining the post-war process of gohak (苦學), focusing on the late Joseon literary anthologies (文集) and modern newspaper articles that described examples of gohak (苦學).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material and relative) ① poverty (貧), ② struggle (苦), ③ achievement (成), and ④ enthusiasm (熱). Next, I highlighted the justification for connecting and driving each key word in terms of individual, group, and society. After that, the virtuous cycle of ① poverty (貧) → ② struggle (苦) → ③ achievement (成) → ④ enthusiasm (熱) → (① poverty(貧) → ② struggle (苦)……) was examin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the common denominator in values betwee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the elements of Confucianism were found. Through two types of proof, extraction and horizontal + longitudinal analysis, this study supports the idea that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the late Joseon Dynasty has impacted modern times.
    However, this study notes differences between the view of poverty (貧) in each era,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of success.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in a position to recognize poverty; on the other hand, modern international students were in a position to overcome poverty. The minor ideological differences regarding poverty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The keen sense of poverty as a negative during the modern era spurred pursuit of the goal of economic growth, unlike the situatio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social changes in the modern era made the division between generations inevitable, as society developed differently than in the era where social circles were constant. In terms of ideological stability, Joseon Dynasty values were learned from childhood through filial piety (孝) and affection (慈), and heterogeneous ideologies were suppressed at the community level. However, many historical records suggest that the sense of respect between seniors and subordinates has become thinner in modern times-perhaps a cause of generational conflict today. Historians must now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계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