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고층빌딩의 융합적 건축형태 분류와 경향에 관한 연 (A Study on Classifications and Trends with Convergence Form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in Tall Building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12
15P 미리보기
초고층빌딩의 융합적 건축형태 분류와 경향에 관한 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7권 / 5호 / 119 ~ 133페이지
    · 저자명 : 박상준

    초록

    본 연구는 초고층 건물의 치열한 높이 경쟁이 지속 되면서 더 이상 높이만으로는 다른 건물과의 차별성 이 부족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면서 비정형적 형태에서 경쟁력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비정형 초고층 건물은 높이뿐만 아니라 그 형태로도 국가, 도시, 기 업의 경제적 경쟁력을 표출하는 상징성을 드러내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건축물의 구조와 형태사이에 간극이 존재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적인 매개물이 요구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디지털 기반의 비정형재현 과정이 실험적으 로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2000년 이전에는 사무공간의 초고층건축으로 사용하거나 산업용 굴뚝, 통신탑 등의 용도가 대부분이었다. 2000년 이후 대다수 글로벌 브 랜드호텔 또는 상·주거공간으로 복합 · 다양한 용도의 초고층건축이 증가하는 추세에 의해 최근의 건축사례 들은 이전의 한계를 벗어나고 있음을 분명하게 확인 된다. 복잡한 비정형형상으로부터 직접적인 구조체계 를 도출하고 사선형, 곡면형이 지닌 조형적인 표현성 을 실현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형성을 통해 구조 와 형태사의 새로운 관계설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 된다. 이에 2000년 이후 신축된 건축 가운데 국제초고 층협의회(CTBUH)의 데이터를 기준에 의해 초고층 100위의 빌딩을 대상으로 정형 및 사선형, 곡면형 등 으로 구분하여 조형적 형태를 인지하는 실질적인 설 계가 이루어지는 설계 프로세스를 근거로 한다.
    - 122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다양한 비정형 건축형태를 구축하기 위한 형태의 상호관련성을 유추하는데 목적 이 있다. 따라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 된 용도의 건물에 따른 다양한 형태구성의 고층부의 외관이 보인다. 둘째, 접힘은 내부방향으로 반복적 접 힘이 적용되어 나타난다. 셋째, 2방향 곡면은 twist의 속성을 가지는 pure, helix, spiral twist 유형의 대부 분 나타난다. 그러므로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미래 초고층건축의 형태분류 및 양상을 예측하는데 기초적 데이터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s skyscrapers are becoming increasingly taller, more constructors have decided the height alone cannot be a sufficient differentiator. As a result, atypical architecture is emerging as a new competitive factor. Also, it can be used for symbolizing the economic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city, or business through its form. Before the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the structure and form of a building and correcting this discrepancy required a separate structural medium. Since the late 1980s, however, digitally-based atypical form development began to be used experimentally, and, until the 2000s, it was used mostly for super-tall skyscrapers for offices or for industrial chimneys and communication towers. Since the 2000s, many global brand hotels and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have been built as super-tall skyscrapers, which shows the recent trend in architecture that is moving beyond the traditional limits. Complex atypical structure is formed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iagonal lines and curved surface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atypical architecture, are created digitally. Therefore, it’s goal is necessary to identify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and forms. According to the data of Council on Tall Buildings and Urban Habitat (CTBUH), 100-story and taller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typical, diagonal, curved, and segment types in order to define formative shapes of super-tall skyscrapers and provide a ground of the design process related to the initial formation of the concep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forms for building atypical architectural shapes that are complex and diverse. The study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complex function follows convergence form characteristics. Secondly, fold has inside of architecture with repeat. Thirdly, as curve style which has pure twist, helix twist, and spiral twist. The finding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assifying and predicting trends of the future super-tall skyscrap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