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이지 황후의 부각과 이미지화-1869~1894년 근대국가 입헌황후로서의 표상- (Empress Meiji's emergence and imagification: Representation as Constitutional Empress of the Modern State from 1869 to 1894)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0.01
24P 미리보기
메이지 황후의 부각과 이미지화-1869~1894년 근대국가 입헌황후로서의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문화연구 / 73호 / 195 ~ 218페이지
    · 저자명 : 박시언, 박이진

    초록

    본고에서는 1869년부터 1894년까지 황후에게 부여된 역할과 지위가 어떻게 대중적으로 표상되었는지 니시키에를 통해 살펴보았다. 근대국가 건설을 위해 메이지정부는 국가적 모델이었던 서구의 황실을 본받아, 일부일처제를 적용하였다. 이후 황후는 일본이 문명국가임을 증명하기 위한 중요한 표상으로 등장한다.
    사적영역에서 황후는 황실 개혁과 함께 여관의 총지휘자로서 지위를 확보해 간다. 이는 동시에 황후의 존재를 국민들에게 알리는 기회가 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황후는 여성국민들에게 허락된 공적영역에 해당하는 학교・제사공장・병원 등에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관심을 가진다. 이후, 1889년 헌법반포 등을 통해 메이지 근대국가 시스템이 확립될수록, 황후의 행보는 활발해지고, 공적영역에서 확실한 지위를 확립한다. 심지어 가장 남성적인 공간인 정치영역에서 황후의 존재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이렇게 황후의 존재가 가시화되고, 근대적 입헌황후로서의 역할이 니시키에라는 대중 저널리즘을 통해 표상체계를 확립해 가게 되었다. 이는 메이지기 여성들의 사회진출을 도모하고 여성의 국민화 프로세스에 황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from 1869 to 1894 how the role and status given to the Empress were publicly represented through Nishiki-e. To build a modern nation-state, the Meiji government embraced monogamy, following the Western model of the imperial family. Later, the Empress emerged as an important symbol to prove that Japan was a civilized state.
    In the private territory, the empress will secure its position as “the general conductor of the female officer” with imperial reform. This was also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people of the Empress's existence. The Empress actively supports schools, silk mills and hospitals in the public territory permitted by women and pays attention.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eiji modern state system through the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in 1889, the role of the Empress has become increasingly active and establishes a solid position in the public territory. The empress's presence also appeared in the most masculine area, the “political territory.” In this way, the Empress's existence became apparent. And the role of the modern Constitutional Empress was established as a symbolic system through popular journalism such as Nishiki-e. This encourages women to enter the society during the Meiji era and shows that the Empres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women's nation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