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활석혼입토기에 관한 일 고찰 - 시공간적 전개과정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Neolithic Talc Tempered Pottery from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3.02
29P 미리보기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활석혼입토기에 관한 일 고찰 - 시공간적 전개과정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3권 / 5 ~ 33페이지
    · 저자명 : 조대연

    초록

    신석기시대 토기에 관한 그간의 고고학적 연구는 문양분석을 통한 편년확립 및 지역상 파악에 주로 치중되어 왔으며, 토기 생산기술이나 유통양상에 관한 논의는 그리 활발하지 않은 편이었다. 하지만 최근 이 방면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에서 꾸준히 확인되는 소위 활석혼입토기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선 현재까지 신석기시대의 활석토기 혹은 석면토기로 막연히 알려진 것들을, 후자도 활석 첨가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만큼, 이를 통틀어 ‘활석혼입토기’로 새롭게 규정했다. 그런 다음, 이렇게 규정된 활석혼입토기의 유적별 및 분기별 출토양상을 계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토기의 시공간적 전개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본고에서는 활석혼입토기의 출토비율, 출토확률(ubiquity), 그리고 문양구성을 유적별로 분석한 다음,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 토기의 생산 및 유통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신석기시대 Ⅰ기와 Ⅱ기를 중심으로 중서부지역의 대연평도 까치산 패총, 인천 운서동, 삼목도 Ⅲ 유적, 연천 삼거리, 그리고 서울 암사동, 미사리, 그리고 용인 농서리 유적 등에서 출토되는 활석혼입토기와 관련해서 각 권역별로 복수의 생산지점들이 유지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영어초록

    Archaeological studies on the Neolithic pottery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tended to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chronological frameworks and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spheres through the analysis of decorative patterns, while ceramic production technology and distribution have generally remained less researched topics.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ttempts to explore the latter and it is in this intellectual context that the current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n in-depth analysis on ‘talc tempered pottery’ which has consistently been identified in Neolithic context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Pottery found in Neolithic contexts previously referred to ast a‘lc pottery’ or ‘asbestos pottery’ were combined into a single category (as the latter was also found to have talc inclusions) and given the name‘talc tempered pottery’. The existence of this pottery was then considered, quantatively, according to site and temporal phase as a means of identifying its spatial and temporal trajectory. In addition, the frequency, ubiquity, and pattern composition of talc tempered pottery was examined per site, and the results were used as the basis for a tentative discussion o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is pottery. I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that in Phase I and II of the Neolithic perio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alc tempered pottery may have been carried out at a number of different location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is represented by sites such as the Kachisan Shellmidden, the Woonseo-dong site in Incheon, the Samgeo-ri site in Yeoncheon, and the sites of Amsa-dong and Misa-ri in Seo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