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부산의 부전역 주변 재개봉관을 중심으로 (The “City a nd Sanitation” Discourse on Movie Theaters of the Early 1 970s: Focus on Second-run Movie Theaters near Bujeon Station, Bus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부산의 부전역 주변 재개봉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90호 / 373 ~ 400페이지
    · 저자명 : 위경혜

    초록

    이 글은 1969년 전국적인 콜레라 확산 상황에서 부산시 부전역 인근 재개봉관을 중심으로 극장을 둘러싼 위생 담론과 그것의 정치적 효과를 살폈다. 부전역 인근 재개봉관은 미군 부대와 대규모 시장 그리고 성매매 집창촌 등 물류와 인구이동이 빈번한 곳에 자리하였다. 하지만 전국적인 재해 발생에도 불구하고 극장위생 실태조사는 형식적인 절차에 그쳤으며, 삼선개헌과 미군 철수와 같은 사회적 재난 앞에서 뒷전으로 물러났다. 게다가 극장 공간의 위생 문제에 적극적으로대처할 관련 조항은 공연법에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전역 앞 성매매 집창촌 인근 재개봉관은 불결과 혐오의 장소로 인식되었다. 이는 수인성 질병과 관련된 부산의 분뇨처리와 식수 관리 등생활세계 문제와 연관되었다. 재개봉관은 불법과 범죄의 공간이라는 낙인이 찍혔는데, 이는 삼선개헌이라는 국가 폭력을 가리는 구실로 작용하였다. 불법 공간이라는 혐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었던 개봉관 역시 탈세 혐의를 받는 감시의 대상이었다. 다시 말하여, 1970년대 초반 부산의 재개봉관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부여는 정권 유지를 위협하는 잠재적 저항 집단으로서 청소년과 노동자 계층에 대한 통치 전략이었다. 나아가 사회 정화 대상으로서 재개봉관에 관한 명명은 한국전쟁 이후 피란 도시로 변한 부산의 극장 문화를 보여주었다. 1950년대 설립된아동극장이 전쟁고아와 부랑자 구호를 내세웠다면, 1970년대 초반 재개봉관은 이들에 대한 통제의 담론을 투사하는 곳이었다. 이는 1970년대 중반 형제복지원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소수에 대한 국가 폭력의 정당화를 향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sanitation discourse surrounding the second-run movie theaters near Bujeon Station, Busan, in the context of a nationwide cholera outbreak in 1969,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Second-run movie theaters proliferated in the crowded areas near Bujeon Station that housed US military bases, large markets, and brothels. Despite the rapid outbreak and spread of cholera, administrative authorities were perfunctory in implementing measures for disease surveillance and quarantine for movie theatres because attention was diverted more toward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dictatorship and the withdrawal of the US military forces from Korea. Moreover, the Performance Act of that time did not contain relevant provisions to address the issue of movie theater sanitation.
    These circumstances led to a perception of second-run movie theaters near the brothels in front of Bujeon Station as places reeking of filth and squalor. Hence, they were dubbed the “honey bucket.” This state of affairs in Busan was an outcome of sanitation and hygiene issues, such as poor waste disposal mechanisms and lack of clean drinking water, which, in turn, spread water-borne diseases.
    Second-run movie theaters were also stigmatized as a space of illegality and crime, which served as an excuse for state violence in the name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extended the Park Chung-hee government’s term in office. The first-run movie theaters, which remained relatively free of allegations as a place for illicit activities, also came under scrutiny for tax evasion. In other words, the negative connotation attached to Busan’s second-run movie theaters in the early 1970s was in fact a government strategy to target the youth and working class, which was a potential resistance group that threatened the regime’s survival.
    Furthermore, designating second-run movie theaters as targets for social purification revealed the cultural landscape surrounding movie theaters in Busan, which had transformed into a refugee city following the Korean War. While the children’s theater was established in the 1950s to promote relief for war orphans and vagrants, second-run movie theaters, in the early 1970s, became places where the state could publicize the discourse of filth and exert control over local residents. This move was aimed at justifying state violence against the social minority represented by the case of the Brotherhood Welfare Center in Bu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