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慶州地域靑銅器時代聚落의 編年과 變遷樣相 -兄山江流域을 中心으로- (Bronze Age Settlement in Hyeongsan River Basi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3.08
28P 미리보기
慶州地域靑銅器時代聚落의 編年과 變遷樣相 -兄山江流域을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66호 / 38 ~ 65페이지
    · 저자명 : 박영구

    초록

    본고에서는 경주지역의 형산강유역에 입지한 청동기시대 주거구조 및 출토유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취락의 편년작업을 시행하고, 취락의 변천양상을 살펴보았다. 형산강유역은 조기~전기전엽에는 대형·방형 주거에 석상위석식 노와 돌대문토기가 출토되고, 전기중엽에는 대형의세장방형·장방형 주거에 무시설식 노, 이중구연복합문이 출토되고, 전기후엽에는 중형 장방형·방형 주거, 복합문에서 이중구연이 소멸되고, 구순각목공열단사선, 공열단사선과 공열이 출토된다. 중형·방형의 울산식 주거가 정형화되는 중기에도 공열은 여전히 지속되고, 공열과 단사선(낟알문)의 형태로 조합된다. 중기후반에는 소형·방형주거지에 공열이 거의 소멸되면서 낟알문도 횡선문으로 변화하고, 무문토기화 되어가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형산강유역 청동기시대 취락은 동일한 구릉과 충적지 내에서 시간차이를 두고 장기간 점유되는 양상을 보인다. 취락의 시기별 분포양상은 조기~전기전엽에는 하천 주변 충적지에서만 확인되나, 주거의 숫자는 적은 편이다. 전기중엽에는 대형 세장방형의 주거지 또는 대형의 장방형 주거가 능선상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1~3기에는 대부분 주거만 확인되며, 소규모 세대공동체의 취락형태를 보인다. 4기에는 구릉과 충적대지에서 확인되며, 형산강유역 전역에 걸쳐 취락이 조성된다. 5~6기에는 울산식 주거가 중심이 되는 취락으로 구릉과 충적지에서 조성된다. 형산강유역 보다는 동천강유역과 해안지역에서 대규모 취락이 조성된다.

    영어초록

    The study recorded the chronicles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and identified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the settlements with an analysis on settlement structure and excavated goods of the Bronze Age in the Hyeongsan River basin.
    From the initial Bronze Age to the beginning of the early Bronze Age, the stone-floor-stone-lined hearths and Doldaemun potteries (pottery with clay stripes) were excavated in the large square-shaped dwelling sites in the river basin. In the middle of the early Bronze Age, the no-equipment hearths were built in the large thin-rectangular and rectangular dwelling sites and impressed patterns with similar double mouth-rim elements were unearthed. At the end of the early Bronze Age, the double mouth-rim elements were dissipated from impressed patterns and the medium rectangular and square-shaped dwelling sites, and notched strip on rim, rim perforated horizontal bands of oblique, rim-perforated horizontal bands of oblique and rim-perforated articles were excavated. In the end of the middle Bronze Age, the rim-perforated goods almost disappeared from the small squareshaped dwelling sites, with the transformation of horizontal bands of oblique (grain pattern) into horizontal line pattern, showing the shift in trend towards the plain coarse pottery. The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Hyeongsan River basin demonstrate that the dwelling sites were occupied for a long term in the same hill and alluvial at an interval. The settlement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nearby alluvial area of the river from the initial Bronze Age to the beginning of the early Bronze Age, with a small number of dwelling sites. In the third phase, most of the dwelling places were located in the hill except for the thin-rectangular dwelling sites in Hwangseong-dong. The 4th phase settlements were identified in the hill and alluvial areas, forming the settlements across the Hyeongsan River basin. In the 5th and 6th phase, the settlements were formed in the hills and alluvial areas focusing on Ulsan type dwelling site. Large scale settlements were created in the Dongcheon River basin (Munsan-ri settlement) and coastal areas (Eoil-ri settlement) in the sam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