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읽기’ 領域의 內容 分析과 向後 課題 (Analysis on the Reading Par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09 Revision and Future Tas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읽기’ 領域의 內容 分析과 向後 課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敎育論集 / 39호 / 95 ~ 124페이지
    · 저자명 : 송병렬

    초록

    본 논문은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 ‘읽기’ 領域의 內容을 分析하고 向後에 ‘읽기’ 領域의 학습 요소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를 연구한 것이다.
    ‘2007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읽기’ 領域과 ‘2009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읽기’ 領域을 비교해 본 결과 두 가지 변화가 있었다. 첫째, 학습 요소의 변화이다. 2007 敎育課程의 읽기 영역은 ‘소리내어 읽기(성독)’과 ‘풀이하기(해석)’가 학습 요소인 반면, 2009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은 ‘소리내어 읽기’만 학습 요소로 삼았다. ‘읽기’의 학습 요소를 2007 敎育課程에서는 내용 파악까지 포함했다고 하면, 2009 교육과정은 내용 파악을 읽기의 학습 요소에서 제외한 것이다. 물론 제외된 ‘풀이하기’는 당연히 ‘이해’ 영역에 포함되었다. 둘째, 성취 기준 진술 방식의 변화이다. 2007 敎育課程의 ‘읽기’ 領域은 학년간 학교급간별로 학습 성취 수준이 거의 같았다. 중학교 1학년에 제시된 ‘읽기’의 학습 요소가 중학교 2, 3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한문Ⅰ, Ⅱ에까지 똑같이 진술되었으며, 다만 성취 수준의 차이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분배 수준에 두었다. 중학교 한문1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300자 범위, 중학교 한문2는 600자 범위, 중학교 한문3은 900자 범위, 고등학교 한문Ⅰ은 1,800자 범위, 고등학교 한문Ⅱ는 확장된 범위 등으로 수준을 구분하였다. 이에 반해 2009 교육과정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의 분배를 성취 수준의 차이로 두었으며, 거기에 성취 기준에도 급간별 차이를 두었다. ‘읽기’ 領域의 학습 요소는 모두 6가지이다. 중학교는 그 가운데 ‘단어, 구절, 문장을 바르게 소리내어 읽을 수 있다’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토의 구실에 유의하여 글을 끊어 읽을 수 있다’ 등 3개의 학습 요소를, 고등학교 한문Ⅰ은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 ‘글을 이루는 구절과 문장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등 2개의 학습 요소를, 고등학교 한문Ⅱ는 ‘글의 분위기를 살려 유창하게 낭독할 수 있다’를 수준별로 배치하였다.
    그러나 실제 2007 敎育課程에 따른 교과서에서 제시한 실례를 보면 교육과정의 진술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띄어읽기와 끊어읽기를 혼동하여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띄어읽기와 끊어읽기에서 문법적인 구조에 따른 읽기와 관습적인 읽기에 따라, 띄어읽기와 끊어읽기의 방법이 많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해설서 또는 다른 논문에서 이에 대해 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이 향후 과제로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sed the ‘reading’ part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09 revision and examined how to develop the learning factors of the ‘reading’ part.
    Two alter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reading’ part in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2007 revision” and that of “2009 revision.” One alte- ration appeared in learning factors. ‘Reading aloud’ and ‘interpretation’ were the learning factors of the reading part in 2007 revision. In 2009 revision, however, ‘interpretation’ was excluded from the reading part, and shifted to the ‘comprehension’ part.
    Another alteration occurred in the description of achievement criteria. ‘Reading part’ of the 2007 revision provided substantially identical achievement criteria regardless of grades or school. Learning factors suggested to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were perpetual throughout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e only distinguishable point lay on the range of 1800 basic characters assigned; 300, 600, 900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1, 2, 3 in middle school respectively, and 1800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I and advanced characters for Classical Chinese II in high school.
    The 2009 revision subdivided its achievement criteria, allocating six learning factors of read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each grade. Learning factors for middle school include the following: ‘to read aloud words, clauses, and sentences accurately,’ ‘to read with appropriate intervals in order to clarify the meaning of text,’ and ‘to read with pause considering the function of suffixes.’ Classical Chinese I in high school curriculum aims ‘to read in compliance with the tone of the speaker’ and ‘to present punctuation marks considering clauses and sentences’ while Classical Chinese II seeks 'to recite fluently enriching the context.'Actual practices given in the textbook, however,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urricula. Most frequent case was a failure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reading with pause and reading with interval. It was confirmed that reading with interval and pause may differ significantly in grammatical reading and customary reading. Accordingly, future task will be the settlement of this issue at the reference book or other arti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敎育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