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호서지역 묘제 일고찰 (Consideration of Hoseo(Chungnam and Chungbuk) Region Burial Types from the Joseon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08.12
31P 미리보기
조선시대 호서지역 묘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5호 / 115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종수, 이경복, 김한상, 이호경, 최영미

    초록

    조선시대 호서지역의 분묘 양식을 대표하는 묘제로는 회곽묘와 토광묘를 들 수 있다.
    묘제에 대한 형식분류는 灰의 사용여부에 따라 크게 회곽묘(Ⅰ類)와 토광묘(Ⅱ類)로 분류하고
    다시 굴광방식 등의 특징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주요유적에 대한 형식별 분석을 시도해 본
    결과, 분묘에서 계층성과 지역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층적인 특징은 ⅠA式의
    경우 왕실의 고관이나 종친 및 이와 관련된 양반계층이 사용자이며, ⅠB1․ⅠB2式․ⅡA1a式은
    경제력을 갖춘 양반계층을 사용자로 추정할 수 있다. ⅡA1b式은 양반계층 및 경제력을 갖춘
    일반 민이며, ⅡA2․ⅡB1․ⅡB2式은 일반 민에 의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지역적인
    특징으로는 가례를 충실히 따르는 ⅠA式․ⅠB1式은 공주목과 홍주목 등 중요 읍치 인근에
    위치해 있고, 석회를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감실이 확인되는 ⅡA1a式이 청주목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예외적으로 아산지역은 호서지역에서 유일하게 석회가 생산되는 특징
    때문에 Ⅰ式의 분묘의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높게 확인되지만, 이러한 현상은 지방관청에서
    주도적으로 유교식 장례문화를 보급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n the Joseon period, the Hoseo(Chungnam and Chungbuk) region was the center
    of the Giho school and the development of 'Yehak'(courtesy scriptures theory). Changes
    in the myoje(grave-site rites) of the Hoseo region, therefore,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pread of Yehak. The number of graves currently identified for the Joseon period
    in the Hoseo region is 64-36 for the Chungnam region and 28 for the Chungbuk region.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formalist analysis of the present data, identifying
    the chronology and regionality of Joseon period graves in the Hoseo region, which was
    the center of Yehak since the 16th century. The archaeological evidence is also considered
    in association with relevant texts from the Yehak books.
    Most of the Yehak books from the Joseon period are versions of Jujagarye(Chu
    Hsi's Family Rituals) which have been revised to fit the realities of Joseon life. Comprising
    texts such as Gukjo oryeui(Five Rituals of the Yi Dynasty), Garye jimnam(Exposition of
    Family Rites), Uirye munhae(Explanations on Doubtful Points in Ritual), Sangrye biyo
    (Essentials of Funeral Rites) and Sarye pyeollam(Convenient Reference to the Four Rites),
    the Yehak books were published and spread amongst the royal family, yangban(aristocrats)
    and sadaebu(literati). These Yehak books discuss matters such as the use of lime as opposed
    to stone, the lining of the grave with charcoal, whether to use soemok, whether pyeonbang
    exists, and how to arrange jiseok(memorial stones), all of which can be archaeologically
    observed.
    'Hoegwag-myo'(lime soil mixture tomb) and 'togwang-myo'(earthen tomb) are
    grave types which represent the burial style of the Hoseo region in the Joseon period. These
    grav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 Type I(hoegwag-myo) and Type II(togwang-myo)
    - according to the use of lime, and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detaile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different grave types are clearly associated
    with social stratification and region. In terms of social stratification, it appears that the
    IA style was used by the royal family and yangban sadaebu class, while styles IB1, IB2
    and IIA1 were used by the yangban sadaebu and the wealthy yangban class. The IIA1b
    style was used by the general yangban class and the wealthy non-yangban class, while
    styles IIA2, IIB1 and IIB2 appear to have been used by the general, non-yangban class.
    Regarding regional variation, the IA and IB1 styles, which faithfully observe garye (family rituals), are located near major towns(eub) such as Gongju-mok and Hongju-mok,
    while the IIA1a style, in which pyeonbang(lounge) was identified but did not use lime,
    is found near Cheongju-mok and traffic routes. It can be presumed that Yehak books were
    spread along traffic routes and around major towns such as Gongju-mok, Hongju-mok and
    Cheongju-mok. Finally, the higher rate of Type 1 graves identified in the Asan area ma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lime production in the Hoseo region was limited to this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