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문화의 원형적 상상력으로서의 역(易) ― 음양·천지인 삼재의 태극을 중심으로 (The Principle of I Ching: an archetype of Korean Cultu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4.03
25P 미리보기
한국문화의 원형적 상상력으로서의 역(易) ― 음양·천지인 삼재의 태극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66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이선경

    초록

    이 글은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적 상상력이라 할 역의 상징과 은유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글의 가설은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전통문화의 바탕에는 역(易)의 정신이 흐르고 있으며, 그 핵심은 음양, 천지인 삼재를 원형(archetype)으로 하는 태극의 문화의식으로 표출된다는 것이다. 즉, 한국의 문화의식의 대표적 상징은 태극이며, 여기에는 음양과 천지인 삼재라는 두 층의 의미가 들어있다고 해석한다. 필자가 일차적으로 주목한 것은 태극문양이다. 태극문(太極紋)은 삼국시대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의·식·주와 밀착하여 왔으며, 그 결실이 구한말 제정된 .태극기.와 .군주기.로 맺어진 것으로 본다. .태극기.는 천지자연의 음양의율동을, 주돈이 .태극도.를 채택한 .군주기.는 천지인 삼재의 인문정신을 상징한다. .태극기.와 .군주기.의 태극이 담고 있는 한국문화의 핵심적 코드로서 역의 음양과 천지인 삼재는 역의 상징이 활용된 대표적 산물인 훈민정음에 뚜렷이 드러난다. 또한 한국사상의 원형적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되는 단군신화와 풍류도는 비록 직접 역을 언급하지는 않지만 이미 역의 음양대대와천지인 삼재로서의 인간의 의미를 그 핵심내용으로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양과 천지인 삼재를 내용으로 하는 태극은 한국문화사를 관통하는 원형적 상징체계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ymbolic and metaphorical images of I-Ching inherent inKorean tradition functioning as an archetype of its culture. I assume that the principle of I-Chingflows through Korean culture in all ages, from ancient time to modern days. The core of theprinciple is represented in the image of Taegeuk(Taiji), which contains the idea of Yin-Yang andSamjae (三才: Heaven, Earth and Man) as its key elements. The iconic design of Taegeuk hasbeen closely related to Korean living culture since Three Kingdom era, as it is easily found inmany artifacts. It reveals the fact that the spirit of Taegeuk has been prevailing through history fora long time. Both Gunjugi (the flag of King) and Taegeukgi (the national flag of Korea), relativelyrecent cultural heritage produced in the late 19th century, show the meaning of the principle ofTaegeuk well. Taegeukgi emblemizes the Yin-Yang rhythm of heaven and earth, while Gunjugisucceeding Zhou Dun Yi(周敦頤)'s Taijitu(Diagram of the great ultimate) represents the humanisticspirit of Samjae. The principle of Yin-Yang and Samjae represented in Taegeukgi and Gunjigi canbe also found in Hunminjeongeum (Korean script system) as it adopted those ideas as a corecode of its creation. In addition, Dangun mythology and Pungliudo which are recognized as theancient form of Korean thought carry the similar idea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antipodes as wellas significant role of humanity amongst Samjae. Despite both Dangun mythology and Pungliudodo not have the direct connection with I-ching itself, the principle of Yin-Yang and Samjae wereimmanent in them as an archetypal notion of Korea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6 오후